오피니언

"교권 3법 현장에 안착 시키겠다"

재선 성공한 하윤수 교총 회장

2004년 직선제 도입후 첫 연임

"교원들 교육 전념 환경 만들고

회원 요구가 정책 되도록 할것"




“교권 3법(교원지위법·아동복지법·학교폭력예방법)을 현장에 안착시켜 교권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하윤수(사진) 한국교육단체총연합회(교총) 회장이 재선에 성공했다. 국내 최대 교원단체인 교총에서 지난 2004년 회원 직선제가 도입된 이래 투표를 통한 연임에 성공한 것은 하 회장이 처음이다.



21일 교총은 10~17일 우편으로 진행한 선거에서 하 회장이 투표자 10만3,432명(투표율 81.8%) 중 46.4%(4만6,538명)의 지지를 얻어 제37대 회장에 당선됐다고 밝혔다. 하 회장은 3만1,167표(31.0%)를 얻은 정성국 부산 해강초 교사, 2만2,639표(22.6%)를 얻은 이상덕 전북 전주금평초 교장을 각각 제쳤다. 하 회장과 러닝메이트로 출마한 조영종 천안오성고 교장, 조정민 목포부주초 교사, 김갑철 서울보라매초 교장, 임운영 경일관광경영고 교사, 권택환 대구교대 교수 등 5명은 부회장으로 당선됐다.


당선이 확정된 후 하 회장은 “다시 한 번 저를 믿고 지지를 보내준 교총 회원들께 감사드린다”며 “회원의 목소리가 최우선되고 회원의 요구가 바로 정책이 되는 한국교총을 만들어나가겠다”고 당선 소감을 밝혔다. 하 회장은 최근 교육현장에서 흔들리고 있는 교권을 바로 잡기 위한 의지도 내비쳤다. 그는 “3년간 직접 발 벗고 뛰어 개정을 이끈 교권 3법을 학교 현장에 안착시켜 교원들이 교육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교육계에서는 하 회장이 교단의 오랜 숙원이었던 교권 3법 개정을 실현하는 등 지난 임기에서 ‘교권 확립’을 위해 노력해 온 점을 재임 성공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그는 1인 시위 등을 통해 교장공모제 전면 확대와 기간제교사·강사의 정규직 전환 등 현 정부 정책에 반대해왔다.

이번 선거에서 하 회장은 ‘스쿨 리뉴얼’ 학교 현장에 새바람을’을 캐치프레이즈로 내걸고 교권 3법의 안착과 학교지원 중심의 교육청·교육지원청 기능 개편, 교원 성과급 차등지급 폐지, 교권침해사건 소송비 지원 확대, 교원지방직화, 유초중등교육 지방이양 저지 등 80대 과제를 공약했다.

하 회장은 1962년 경남 남해 출생으로 경성대 법학과를 나와 부산교대 총장과 초등교원양성대학교발전위원장, 전국교원양성대학교 총장협의회장 등을 지냈다. 현재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상임의장, 3·1운동·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 등을 맡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