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中, 美제재 무시하고 이란원유 수입 강행…미중 관계 악화되나

유조선들이 호르무즈해협을 지나고 있다./로이터연합뉴스유조선들이 호르무즈해협을 지나고 있다./로이터연합뉴스



중국이 미국의 이란산 원유 수입 제재 강화 조치에도 이란산 원유 수입을 강행하면서 미중 관계의 갈등의 폭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8일(현지시간) 유조선 추적업체인 탱커트래커스 자료를 인용해 약 100만 배럴의 이란산 원유를 실은 이란 국영유조선회사(NITC) 소유 유조선 ‘살리나’ 호가 지난 20일 중국 진저우 항에 도착했다고 보도했다.

살리나 호는 지난달 24일 이란 하르그섬에서 출발해 같은달 28일 원유 100만 배럴을 실은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은 미국의 대이란 제재가 재개되기 전인 올해 1분기에 하루 평균 47만5,000 배럴을 수입하는 이란의 최대 원유수입국이었다.

이란 경제 매체 보스앤바자르(B&B)는 중국이 이란산 원유를 수입한 것은 미국의 제재 유예가 중단된 이후 처음이라고 보도했다.


살리나 호의 이란산 원유는 중국 국영 중국석유천연가스집단(CNPC)의 계열사인 진시 정유·화학에 수송됐다.

관련기사



이는 중국이 정부 차원에서 이란산 원유수입을 재개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B&B는 설명했다. B&B는 또 이란산 원유를 실은 다른 유조선 몇 대도 수주 내 중국에 도착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미국은 한국, 중국, 일본 등 8개국에 6개월간 허용했던 이란산 원유수입 제재 유예를 지난달 2일부터 중단했다.

이에 따라 중국은 이란산 원유를 조금이라도 수입하면 미국 재무부로부터 세컨더리보이콧(제3자 제재) 대상이 될 수 있다.

미국은 이란산 원유수입을 ‘제로(0)’로 만들겠다며 이란산 원유를 사들이는 나라도 미국의 제재를 받을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미국과 무역전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이 미국의 제재를 무시하고 이란원유를 수입함에 따라 향후 미중관계가 더욱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