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도시바 감산·재고 축소에 낸드값 선제조정

■삼성 낸드가격 10% 인상

7개월만에 하락세 멈추고 진정

반도체 업황회복 내년으로 미뤄져

가격인상 후 수요전망은 미지수

1115A12 낸드D램가격



10일 삼성전자의 낸드플래시 가격 10% 인상 추진 소식은 세 가지 요인이 겹친 데 따른 것이다. 우선 그동안 낸드 가격의 하락 폭이 컸다. 올 6월 낸드 가격은 지난 2016년 9월(3.75달러, 128Gb MLC 기준) 이후 가장 낮은 대당 3.93달러까지 떨어졌다. 1년 전에는 대당 5.50달러였다. 가격이 크게 빠지면서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등 낸드 제품에서 수요가 슬금슬금 붙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지난달 기업 간 중장기 가래 가격인 고정거래가격도 11.73% 빠진 D램과 달리 보합세를 기록했다.

낸드 업계 2위인 도시바의 정전 사고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정확한 피해는 알 수 없지만 생산 라인 일부는 아직 정상 가동이 되지 않는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증권가에서는 도시바가 기존 생산 대비 20% 이상 감산하고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특히 도시바 공장에서는 미국의 웨스턴디지털도 낸드를 생산하고 있다. 도시바(19.3%·2018년)와 웨스턴디지털(15.3%)의 점유율 합계가 34.6%에 달한다는 점에서 심각한 재고 수준을 낮추는 효과를 냈을 가능성이 크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기업들의 재고 사정도 차츰 좋아지고 있다는 관측이다. 시장에서는 낸드 재고가 4주 정도까지 낮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아직 8주 이상 재고가 쌓인 D램과는 대조적이라는 얘기다. 김경민 하나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대형사만 봐도 마이크론이 웨이퍼 투입량을 -5%에서 -10%까지 축소했고 삼성 등도 생산 라인 효율화에 들어갔다”며 “특히 도시바 정전 사고 이후 비자발적 감산마저 나타나 재고가 감내할 수 있는 수준까지 회복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낸드 현물가격도 일부 제품을 중심으로 반등세가 나타났다. 시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현물가격은 고정거래 가격의 선행 지표 성격이 있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주에 이미 저용량(128Gb TLC) 웨이퍼 낸드 현물 가격이 올랐고 전날 USB 및 메모리 카드 등의 스폿 가격도 반등했다”며 “낸드가 오랜 하락세를 딛고 강보합 수준에서 거래되는 추세”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정리하면 현재 낸드 시장 분위기는 바닥을 찍고 기력을 추스르는 상태로 볼 수 있다. 물론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에 따른 경기 침체,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라는 돌발 악재 등으로 중장기 전망은 여전히 ‘시계 제로’라 신중론이 대세지만 현재 상황만 놓고 보면 그렇다. 더구나 미국 정부의 화웨이 제재가 최근 이완되고 있다. 정보기술(IT) 수요가 이전보다 조금 더 살아날 수 있다는 뜻이다. 삼성의 두자릿수에 달하는 가격 인상 소식은 이런 배경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가격 인상 이후다. 스마트폰 기업이나 서버 업체 등의 수요가 낸드 가격 인상 이후에도 붙을 수 있느냐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반도체 업황 회복 시기를 올 하반기에서 내년 상반기 이후로 미뤘다. 그런 맥락에서 보면 낸드 가격의 상승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기는 쉽지 않다. 다만 이번 가격 인상은 역설적으로 보면 이미 업계 1위 삼성전자를 뺀 모든 낸드 업체가 적자를 내는 판에 더 이상의 가격 하락은 방치하지 않겠다는 메모리 업계의 절박감이 반영돼 있기도 하다. 만에 하나 일본의 소재 수출 규제가 장기화해 메모리 생산에 차질이 빚어진다고 가정하면 기업들의 입도선매 수요가 추가로 발생할 여지도 배제할 수 없다. 도현우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연말 출시 예정인 인텔의 중앙처리장치(CPU)와 AMD의 라이젠 3세대 제품 간 경쟁도 가열되면서 최근 인텔이 CPU 가격을 15~20%가량 낮췄다”며 “그 결과 PC 수요도 개선되고 있고 SSD 수요도 괜찮아 낸드 업황에 긍정적 요인이 많아지고 있는 것은 맞다”고 말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D램 시장에 대해서는 “여전히 어렵다”는 입장이다. 반도체 업계의 한 고위 임원은 “D램은 형편이 더 어렵다”며 “고정거래가격은 물론 현물 가격도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고 재고 소진도 버겁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D램에서 가격 결정권을 갖춘 삼성 등이 나서서 일본의 소재 수출 규제 등을 명분으로 가격 조정을 저울질하지 않겠다는 관측도 나온다. 하지만 D램 재고가 두 달 이상 있는 상황에서 경기까지 고려하면 그 가능성은 낮다고 보는 게 대부분이다. 적어도 단기에 그런 일이 벌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의미다.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