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영빈관 아닌 충무실서 국무회의 하듯...예정보다 30분 넘겨 2시간 열띤 토론

간담회 분위기

엄중한 상황 반영 촘촘하게 자리

김상조 실장·이호승 수석이 사회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청와대에서 30대 기업 대표들을 초청해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와 관련한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청와대에서 30대 기업 대표들을 초청해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와 관련한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10일 오전10시30분 청와대 충무실. 타원형의 긴 테이블에 문재인 대통령과 기업인들이 어느 때보다 촘촘하게 자리했다. 문 대통령을 기준으로 왼쪽에는 최태원 SK그룹 회장, 오른쪽에는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맞은편에는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이 앉았다. 이날 간담회에는 총자산 10조원 이상의 대기업 30개사 총수 및 주요 최고경영자(CEO)들과 경제단체 4곳의 수장들이 참석했다.


문 대통령이 기업 총수를 청와대로 초청한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이번 간담회는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급히 마련된 만큼 호프미팅과 경내 산책 일정이 포함됐던 지난 두 차례의 간담회와는 분위기가 사뭇 달랐다. 장소도 국무회의가 열리는 본관 충무실이었는데 이는 문 대통령의 엄중한 상황 인식이 반영됐다는 해석이다. 문 대통령은 마치 국무회의를 주재하듯 회의 대형으로 자리를 마련했다. 간담회 사회도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과 이호승 경제수석이 직접 맡았다.

관련기사



김 실장은 “일본 수출규제 조치의 직접적 당사자인 LG·SK·삼성에 먼저 말씀을 부탁 드리고 국내에서 부품을 생산하는 금호와 코오롱도 말씀을 부탁 드린다”며 “그다음에는 구체적인 움직임은 없지만 현대차·효성에 소재 관련한 말씀을 듣고 일본과 여러 네트워크를 갖고 있는 기업들의 말씀을 듣겠다”고 말했다. 일본의 추가 보복 조치까지 염두에 두고 이번 간담회가 마련됐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당초 정오까지로 계획됐던 간담회는 예상보다 30분 초과된 오후12시30분에 종료됐다. 이는 점심시간을 넘겨도 상관없으니 발언하고 싶은 기업인들이 모두 발언할 수 있도록 하자는 문 대통령의 제안에 따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일본과의 사업 관계 등을 감안해 이날 기업인들의 발언은 비공개로 이뤄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간담회에 참석한 34명이 모두 발언을 한 것은 아니지만 모두가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다양한 이야기가 나왔다”고 전했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