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노후소득 ‘빈익빈 부익부’…“공적연금 강화 필요”

사적연금 발전해도 공적연금 강화 없인 불평등만 가중

노후 예상 연금총액 ‘월 155만원’ vs ‘월 55만원’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사적 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이 아무리 발전해도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을 강화하지 않으면 저소득층의 노후소득보장 수준은 개선되지 않는다는 분석이 나왔다. 공적연금 강화가 없으면 저소득층의 고소득층과의 소득 격차와 불평등만 가중될 것이라는 해석이다.

성혜영 국민연금연구원 부연구위원은 2일 ‘근로자의 소득수준별 퇴직·개인연금 가입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2017년 통계청 퇴직연금 통계데이터와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재정패널 데이터를 활용해 국민연금 사업장 가입자의 소득수준에 따른 퇴직연금과 개인연금 가입 비율을 확인한 결과 이같은 분석이 도출됐다고 밝혔다. 분석 결과 국민연금 가입자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퇴직연금과 개인연금 가입 비율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민연금 보험료 산정기준인 ‘기준소득월액 상한액’(해마다 가입자 3년간 평균소득 상승률에 연동해 조정되며 2019년 7월 기준 월 486만원) 이상 고소득자의 경우 약 70%가 퇴직연금에, 45.9%가 개인연금에 가입했다. 하지만 100만원 미만 저소득자의 퇴직연금 가입 비율은 14.37%, 개인연금 가입 비율은 5.5%에 불과했다.


분석값을 종합하면 소득계층별로 노후 국민연금과 퇴직연금, 개인연금 등 3종의 연금을 탈 수 있는 비율은 월 450만원 이상 고소득자는 45.9%에 달하지만, 월 100만원 미만 저소득자는 5.5%, 월 150만원 소득자는 8.1%, 월 250만원 소득자는 8.8% 수준이다. 노후에 숨질 때까지 평생 받을 수 있는 예상 연금 총액도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가 컸다.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을 모두 25년씩 가입한 경우 월 450만원 고소득자가 사망 때까지 매달 타는 노후 예상 연금총액은 155만원가량이었다. 그러나 저소득계층이 기초연금을 수급하지 않는다고 가정 할 때 월 100만원 미만 저소득자는 노후 예상 연금총액이 월 55만원, 월 150만원 소득자는 월 67만원, 250만원 소득자는 월 96만원가량에 그쳤다.

관련기사



성 부연구위원은 “소득이 높은 계층의 경우 퇴직연금과 개인연금을 활용해 충분한 노후소득을 확보할 여지가 있으나 저소득층은 그렇지 않은 게 현실”이라며 “사적 연금 활성화로 적정 노후소득을 보장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사적 연금 활성화는 공적 연금제도 강화와 병행 추진해야 노후소득 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민연금연구원/국민연금연구원


/국민연금연구원/국민연금연구원


/정민수 인턴기자 minsoojeong@sedaily.com

정민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