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내달 23일까지 입법예고...주거심의委 열어 지역 결정

[10월부터 민간분양가상한제 적용...앞으로 절차는]

12일 발표된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적용기준 개선 추진안’이 당장 시행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이달 14일부터 다음달 23일까지 40일간 입법예고를 거친 뒤 관계기관 협의, 법제처 심사, 국무회의 등을 거쳐 유예기간 없이 시행된다. 국토교통부는 이르면 오는 10월 초부터 공포·시행될 것으로 보고 있다.


개선안에 따라 10월부터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지정 정량요건(필수요건+선택요건)을 충족한다고 하더라도 바로 상한제 적용을 받는 것은 아니다. 주거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야 한다. 기본적으로 필수요건인 투기과열지구를 만족하면서 △최근 1년간 평균 분양가격 상승률이 물가 상승률의 2배를 초과하는 경우 △분양이 있었던 직전 2개월의 청약경쟁률이 평균 5대1을 초과한 경우 △직전 3개월간 주택 거래량이 전년 동기보다 20% 이상 증가한 경우 가운데 하나 이상을 충족해야 한다. 이 같은 정량요건을 충족한 지역 중 주거정책심의위가 주택가격이 급등하거나 급등할 우려가 있는 지역을 선별해 심의를 하면 최종 상한제 적용지역으로 지정된다.

관련기사



이문기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정량요건을 충족한다고 해서 바로 상한제 지역으로 지정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개정안이 10월 초에 시행되는데 그 이후 주거정책심의위를 개최한 뒤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어느 지역을 지정할지, 언제 지정할지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 2007년에는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가 전국에 일률적으로 도입됐는데 이번에는 정량요건에 해당하는 지역 중 주거정책심의위를 통해 선별적으로 세부지역을 지정하는 게 다른 점”이라고 설명했다.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