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시멘트協 "국내산 석탄재 사용 늘릴 것"

일본산 수입절차 강화 방침에

기존 입장서 선회 "적극 협조"

대체원료 확보에도 나서기로




시멘트 업계는 정부의 일본산 석탄재 수입 절차 강화 방침에 대해 “국내산 석탄재 사용을 늘리고 대체 원료를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일본산 석탄재 수입 규제가 시멘트 산업에 피해를 줄 수 있다는 기존 입장에서 정부에 협조하겠다는 쪽으로 방향을 돌린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시멘트협회는 19일 ‘수입석탄재 관련 시멘트업계 입장’ 제하의 성명을 발표하고 “지난 8월8일 환경부가 발표한 ‘수입석탄재 환경안전관리 강화방안’에 적극 협조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석탄재는 화력발전소에서 석탄을 때고 난 뒤 나오는 폐기물이지만 전량 재활용이 가능하다. 전 세계 시멘트 공장에서 점토를 대신하는 원료로 쓰고 있으며 특히 한국은 레미콘 제조 공정에서도 시멘트를 일부 대체하는 재료로 사용된다. 때문에 국내 시멘트 업계는 석탄재 부족분을 일본으로부터 수입해왔다. 이 과정에서 일본산 석탄재가 방사능에 오염된 게 아니냐는 일각의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관련기사



시멘트협회는 “수입 석탄재를 들여오는 과정에서 통관 전·후 방사선 검사를 비롯해 공인기관의 방사능 검사, 지방환경청의 방사선 모니터링 등 여러 단계에 걸쳐 방사선 및 방사능 검사를 철저하게 실시해왔다”면서 “해당 결과를 업체별 홈페이지에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고 그동안 단 한 차례도 법적 기준치를 초과한 사례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시멘트 업계는 국내 화력발전소와 협의해 석탄재 추가 조달 방안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시멘트협회는 “수입석탄재 환경안전관리 강화방안이 본격 시행되면 국내 석탄재 수급 불안정으로 원료 조달에 어려움이 예상되나 발전사와 협력해 국내산 석탄재 사용을 적극 늘려나가겠다”면서 “천연 자원인 점토광산 개발 등 대체 원료 확보에도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시멘트협회는 “시멘트산업에 미치는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정책적인 배려 등 관심과 지원을 부탁한다”면서 “시멘트 업계는 정부 정책에 따라 철저한 환경안전관리를 통해 국민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