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비중 큰 수시 자소서도 학원이 대필…깜깜이 전형에 '국민불신'

■현행 대입제도 문제점은

학생부 전형 등 공정성 도마 위

野·보수교육계 "정시비중 확대"

진보측 "대학 정보공개로 해결"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사태로 불거진 대학입학 제도에 대한 국민적 분노의 핵심은 학생부 전형을 비롯한 수시가 공정하지 않다는 것이다. 야권을 중심으로 한 보수 교육계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정시 비중을 대폭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진보 교육계는 대학들의 정보 공개를 촉구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2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따르면 올해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하는 2020학년도 대입에서 수시 비중은 77.3%에 달한다. 고3 학생과 재수생들 10명 중 8명이 대입의 최종 시험이라고 할 수 있는 수능과는 별도로 대학에 입학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조 후보자 사태로 대입의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는 수시에 대한 국민적 여론이 급격하게 나빠졌다. 특히 조 후보자의 딸이 고려대에 진학할 때 선택한 당시 입학사정관전형과 근본적으로 유사한 학생부 종합전형에 대한 신뢰도가 특히 낮아졌다. 학생부 종합전형은 학생부 교과전형과 달리 중간고사·기말고사와 같은 고교에서의 시험이 아닌 논문·인턴 등 각종 대외활동이 평가에 반영된다. 특히 자기소개서 등 역시 강남의 입시전문 컨설팅 학원 등을 통해 대필이 되거나 첨삭되는 경우가 허다하고 심지어는 교사가 기재해야 하는 학교생활기록부도 학생이나 학부모들이 ‘셀프 기재’하는 기현상이 사실상 관행화되고 있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관련기사



조 후보자 사태로 문재인 대통령까지 대입 제도와 관련해 언급한 만큼 향후 제도 개편은 정시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는 자유한국당을 비롯한 보수 교육계가 그동안 요구해온 것이다. 국회 교육위원회 야당 간사인 김한표 한국당 의원은 서울경제와 통화에서 “조국 사태로 불거진 대입 제도 개편에 대한 국민들의 생각은 다 비슷하다고 본다”며 “그나마 공정하다고 할 수 있는 정시 비중을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도 지난해 숙명여고 사태로 수시에 대한 국민적 의심이 확산되자 대입에서 정시 비중을 30%로 늘리라고 대학에 공문을 내렸지만 이는 부족하다는 게 야당의 입장이다. 김 의원은 “당내에서는 정시를 60%까지 늘려야 한다는 의견도 있고 개인적 생각으로는 50대50이 맞는 것 같다”며 “대입 제도의 공정성을 확보하자는 차원에서 앞으로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진보 교육계에서는 정시 비중 확대가 문제풀이에만 능숙한 학생들을 양산한다며 부정적인 입장이다. 대신 학생부 종합전형 등 수시의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현진 전교조 대변인은 “당장 여론에 따라 수능 비중을 확대하는 것은 교육정책을 역행하는 것”이라며 “학생부 종합전형 등 현행 제도의 공정성을 높이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학생부 전형으로 수험생을 선발하는 대학들이 어떤 인재를 뽑았는지 정보 공개를 확실히 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 대변인은 “현재의 학생부 종합전형은 정보 공개가 전혀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깜깜이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대학이 정보 공개를 하도록 유도하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경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