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소재·부품 수입기업 75% "日 수출규제로 매출감소, 생산중단 우려"

산기협 4일 '日 수출규제 대응실태 및 R&D현황'자료 발표

74% 기업 "日 부분·완전 대체 가능"...10%는 "대체 불가능"

韓 부품공급사 중 약 절반 "일본 규제로 매출 증가 예상"

<일본 수출규제 품목을 수입하는 국내 기업 영향>




*8월 9~26일 기업연구소 보유 부품소재기업 2,307개사 대상 조사.  응답률 약 11.8%                  (자료: 산기협)*8월 9~26일 기업연구소 보유 부품소재기업 2,307개사 대상 조사. 응답률 약 11.8% (자료: 산기협)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로 해당 소재·부품을 수입하는 기업의 약 절반이 매출 감소를 겪을 것이라고 답했다. 5곳중 1곳은 생산 중단을 걱정했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4일 이 같은 내용의 ‘국내 소재부품기업의 일본 수출규제 대응실태 및 연구개발(R&D) 현황’ 자료를 발표했다. 이번 자료는 이번 조사는 산업부의 부품소재 확인기업 중 기업연구소를 보유한 2,307개사를 대상으로 지난 8월 9~26일 실시한 조사결과(응답률 11.8%)를 기초로 작성됐다. 조사결과 “소재부품을 수입하여 활용하는 기업의 경우, 75%가 일본의 수출규제가 매출감소 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고 산기협은 전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일본의 수출규제 영향에 대한 질의(중복 응답허용)에서 매출 감소를 예상한 기업은 46%였다. 32%는 협력업체 피해에 따른 2차 피해를 전망했다. 19%는 생산 중단을, 16%는 R&D 축소 가능성을 내다봤다. 거래중단을 걱정한 응답은 6%였다. 반면 영향이 없다고 답한 비중은 23%에 그쳤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6%였다.

관련기사



수출 규제 품목에 대해 일본 수입 대체가 완전히 불가능하다고 답한 수입기업은 10%였다. 부분 대체가 가능하다는 응답은 64%였으며 완전 대체가 가능하다는 기업은 19%로 조사됐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7%였다. 대체를 위한 구체적인 대책으로는 36%가 해외 거래선 확보를 꼽았으며 국내 거래선 확보를 선택한 기업도 29%에 이르렀다. 구체적인 대응방법이 없다고 답한 기업은 22%로 집계됐다.

<일본 수출규제 품목 공급 국내기업 영향 조사>

*8월 9~26일 기업연구소 보유 부품소재기업 2,307개사 대상 조사.  응답률 약 11.8%                  (자료: 산기협)*8월 9~26일 기업연구소 보유 부품소재기업 2,307개사 대상 조사. 응답률 약 11.8% (자료: 산기협)


반면 일본이 한국에 대해 화이트리스트에서 배제한 품목을 생산하는 국내 공급기업의 52%는 해당 규제로 자사의 매출 증가에 긍정적 영향이 미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기술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이 미칠 것이라고 답한 국내 공급기업은 61%였다. 공급기업중 19%는 향후 3개월 내에 공급이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대체공급이 불가능하다고 답한 공급사는 3%였다. 수출규제 품목에 대한 우리 기업의 기술수준이 일본의 90%이상 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46%였다. 80%수준이라고 평가한 기업은 24%, 70%이하라고 지적한 기업은 30%였다.

이런 가운데 소재산업의 R&D투자 및 연구인력 수준은 산업전체 평균에 미달했다고 산기협은 전했다. 우선 소재산업 기업의 평균 연구개발비는 12억원으로 15억원이 전산업을 밑돌았다. 매출액 대비 R&D투자 비중 역시 2.05%로 전산업(3.32%) 평균을 하회했다. 해당 분석은 2017년도 부품소재기업 R&D투자 및 연구인력 자료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으로 기업들은 소재부품 기업에 대한 전문연구요원 배정 등 고급인력 지원 확대를 꼽았다. 아울러 대·중소기업 공동 R&D사업 추진, 연구용 화학물질 관리기준 완화 등을 요구했다. 구자균 산기협 회장은 “일본 수출규제를 극복하기 위해 기업규모와 관계없이 역량있는 기업을 지원하는 과감함이 필요하고, 동시에 공급기업과 수요기업이 상생하고 협업 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