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청문회는 끝났지만...여야, 조국發 후폭풍 몰아칠듯

고소·고발에 국조·특검 요구 놓고 진흙탕 싸움으로 정국 격랑 불가피

민주당 등돌린 2030표심 만회 과제...한국당은 리더십 논란 수습 급선무

6일 오전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시청하고 있다./연합뉴스6일 오전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시청하고 있다./연합뉴스



무산될 위기에 놓였던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6일 가까스로 열렸지만 청문회를 기점으로 더 큰 후폭풍이 몰아칠 것으로 전망된다. 검찰 수사 결과는 물론 청문회 과정에서 발생한 각종 고소·고발건 그리고 특검과 국정조사까지 국회는 바람 잘 날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 각 정당은 조 후보자 청문회 합의 과정에서 발생한 민심 이탈, 당내 분란 등을 수습해나가야 하는 과제를 얻게 됐다.


오신환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문재인 대통령의 반헌법적 ‘조국 지키기 쇼’에 더 이상 들러리를 서지 않겠다”며 “국회가 준비해야 하는 것은 국정조사 요구서와 특검 법안이다. 대통령이 (조 후보자를 장관으로) 임명하는 순간 특검으로 전환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대통령의 조 후보자 임명 강행과 동시에 국회가 특검과 국정조사 국면으로 진입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조 후보자를 둘러싼 고소·고발 건을 놓고도 한바탕 진흙탕 싸움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김도읍·김진태·주광덕 자유한국당 의원이 조 후보자를 고발한 데 이어 이날 청문회에서도 김진태 의원이 조 후보자를 강요죄로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한국당은 이날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의 유시민 이사장과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증거 인멸 등 강요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시민단체가 주축이 된 고발 건도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주 의원의 생활기록부 공개 건을 두고도 시민단체가 고소·고발을 하는 등 두 진영이 고소·고발을 무기로 첨예하게 맞붙는 양상이다. 검찰 수사 결과에 따라 정국이 격랑에 빠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검찰은 이날 이른바 ‘조국 가족 펀드’를 운용해온 운용사 대표를 이틀째 소환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조 후보자 가족의 사모펀드 투자는 여러 의혹 중에서도 검찰 수사로 밝혀낼 부분이 많은 핵심으로 꼽히는 만큼 향후 수사 결과에 따라 정치권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할 것으로 분석된다.

각 당이 풀어나가야 하는 과제도 산적해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조 후보자 딸의 대학입시 특혜 논란을 방어하는 과정에서 등을 돌린 2030세대의 표심을 만회해야 하는 과제를 안았다. 입시 특혜 의혹을 놓고 ‘무리한 궤변’이라는 비판까지 받았을 정도로 철통 방어 전략을 펼쳤던 만큼 총선을 위한 민심 수습이 급선무다. 한국당의 경우 대외적으로는 임명 강행을 대비해 의원직 총사퇴 카드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내적으로는 청문회 개최에 합의한 원내지도부를 둘러싼 리더십 논란으로 내분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정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