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트럼프 "중간단계 합의 고려"...내달 스몰딜 나오나

[다시 훈풍 부는 미중 무역협상]

美 추가관세 부과 보름 연기에

中, 농산물 수입재개 절차 시작

내달 무역협상 전 한발씩 양보

中 기업보조금 지급 문제 등

핵심 쟁점 두고는 평행선 여전




경기둔화 압력에 직면한 미국과 중국 양국이 한발씩 양보하며 다음달 초로 예정된 고위급 무역협상에서 ‘딜’이 성사될 가능성이 커졌다. 중국이 대두 등 미국 농산물 구매를 재개하는 대신 미국은 추가 관세 부과를 연기하기로 한 가운데 고위급 무역협상에서 ‘스몰딜’이라도 성사시켜 추가 협상의 동력을 이어갈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중국에 대해 강경한 태도를 고수해온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지난 12일(현지시간) 미중 무역협상에서 ‘중간단계(interim)’의 합의안을 고려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그는 백악관에서 기자들에게 “많은 분석가가 중간합의를 말하는 것을 보고 있다”면서 “이는 쉬운 것부터 먼저, 일부를 하겠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그것도 우리가 고려하는 어떤 것이라고 추측한다”면서 “쉬운 것도, 어려운 것도 아니다. 합의가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완전한 합의안에 서명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언급은 미중 핵심 이슈들을 일괄타결하는 ‘빅딜’이 최종 목표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다면 일부 ‘스몰딜’도 고려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앞서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행정부가 중간단계의 미중 합의안을 고려하고 있다”면서 “중국이 미국산 농산물을 추가로 사들이고 지식재산권 보호 강화 등 기존 합의안의 일부를 이행한다면 그 조건으로 대중 관세를 연기하거나 완화하는 방안”이라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앞서 11일 트윗을 통해 사전에 예고한 2,500억달러(약 298조원)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시기를 오는 10월1일에서 10월15일로 보름가량 늦추기로 했다며 달라진 기류를 나타냈다. 이는 중국의 건국 70주년 기념일(10월1일)에 맞춘 관세 부과를 피하자는 의도다. 트럼프는 “류허 중국 부총리의 요청이 있었다”고 적시했다.


사전에 의견조율이 된 것처럼 이 트윗 직후 중국도 미국 농축산물 구매 재개를 위한 절차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가오펑 상무부 대변인은 12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 기업들이 이미 미국산 농산물 구매를 위해 가격 문의를 시작했다”면서 “대두와 돼지고기도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도 14일 사설에서 “무역갈등 완화는 양국 모두에 이익”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이처럼 미중 양국이 주거니 받거니 유화조치를 취하면서 일단 10월 초 고위급 무역협상을 앞두고 우호적인 기류는 형성된 상태다. 이번주 양국 실무팀은 고위급 회담에 앞서 의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양국이 그동안의 강경 태세에서 물러선 것은 그만큼 두 나라의 경제상황이 녹록지 않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은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이 두 달째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디플레이션 현실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도 제조업 경기가 3년 만에 ‘위축’ 국면으로 접어드는 등 경제상황이 나빠지고 있어 반전의 모멘텀이 절실한 시점이다.

다만 양국이 핵심 쟁점 타결에 근접한 것은 아니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미국은 여전히 중국에 기업보조금 지급, 기술이전 강요 등 불공정관행 시정과 이의 법제화를 요구하고 있고, 중국은 ‘핵심 이익’을 명분으로 이를 거부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이 무역 문제와 기타 국가안보 이슈를 나눠 투트랙으로 협상을 진행하자고 제의했지만 미국이 거부했다”고 보도했다.

미중 갈등 양상이 또 다른 방향으로 확대될 조짐도 보인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초당파의원그룹은 최근 마크 에스퍼 국방장관에게 서한을 보내 미국에서 활동하는 중국군 소유 기업들의 명단 공개를 요구했다. 이들이 미국 기업의 기술을 훔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중추절을 앞둔 12일 베이징 교외 샹산에 있는 마오쩌둥 혁명기념지를 찾아 ‘중화민족의 부흥’을 재강조하며 장기전에 대한 의지를 다졌다. /베이징=최수문특파원 chsm@sedaily.com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