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러운 학교밖 청소년...밥값 지원도 눈밖

고교 무상급식 전면 확대에도 이들에 대한 지원은 전무

'4,000원 지원' 여가부 내년 예산안마저 국회통과 불확실

"안정적 재원 가능한 시도교육청으로 지원 일원화 검토를"

고교 무상급식이 시행되는 가운데 사회적 약자인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급식 지원책은 없어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학교를 다니는 청소년을 담당하는 부처는 교육부지만 밖으로 나가면 여성가족부 소관이 되는 등 분할된 정부 책임이 정책 엇박자를 불러왔다는 지적이다.

11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교육청은 올해부터 서울 9개 자치구 96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고등학생 3학년 무상급식을 시행하고 있다. 재원 마련을 교육청 50%, 서울시 30%, 자치구 20% 분담하는 방식으로 내년 고등학생 2·3학년, 내후년 전체 학생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서울과 달리 경기도는 이미 올해 2학기부터 경기도교육청의 추진 아래 고교 전면 무상급식을 시행하고 있다. 기존 초·중학교 무상급식과 함께 전 교육과정 무상급식 수혜 지역이 전국적으로 늘고 있는 것이다.

1215A21 청소년무상급식



문제는 이와 같은 청소년 대상 급식 지원이 학교 안에서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016년 12월 기준 약 39만명으로 전체 청소년(620만명)의 6.3%에 달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은 정규 교육과정 바깥에 있다는 이유로 무상급식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학교 밖 청소년 중 다수가 저소득층 자녀인 현실을 고려하면 무상급식의 주 수혜자가 돼야 하는 청소년들이 오히려 복지 정책의 혜택을 보지 못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


학교 안과 밖 청소년을 담당하는 주무 부처가 다른 점이 정책 엇박자의 원인이 됐다. 현재 공교육 체제에서 학교 안 청소년은 정부 산하인 교육부와 교육자치 주체인 시도교육청이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이 정규 교육과정을 거부하고 학교 밖으로 나가면 주무 부처가 여성가족부로 바뀌게 된다. 한 해 예산이 올해 처음으로 1조원을 넘긴 미니 부처인 여가부는 교육당국보다 정책 집행력이 약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학교 밖 청소년들의 복지 지원도 줄어들 수밖에 없는 것이다.

관련기사



여가부는 이와 같은 문제를 인식하고 내년도 예산에 처음으로 학교 밖 청소년 점심 지원금액을 마련했다. 하지만 정부 예산안이 국회에서 그대로 통과될지는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다. 여기에 더해 기획재정부와 협의해 여가부가 내년 예산안에 책정한 학교 밖 청소년 1인당 중식 단가도 4,000원으로 금액이 충분하지 않다.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고등학교 무상급식 예산에서 학생 1인당 단가는 5,406원으로 4,000원보다 35%나 많다. 학교 밖 청소년들이 학교에서처럼 급식소를 이용할 수 없는 현실을 고려하면 4,000원으로 제대로 된 식사를 하기는 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서는 해당 예산이 사회적 약자를 위한 것인 만큼 국회에서 야당의 반대가 쉽지 않고 단가도 향후 올라갈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밥값을 걱정해야 하는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해 교육당국이 책임을 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학령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이라는 안정적인 재원 마련 창구를 갖고 있는 시도교육청이 학교 안은 물론 바깥의 청소년들에게도 신경을 써야 한다는 것이다. 교육계의 한 관계자는 “학교 안과 밖을 구분해 주무 부처가 나뉘는 것은 구시대적인 행정”이라며 “재정적으로 여유가 있는 교육당국이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경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