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유럽도 무기수출 중단...설자리 좁아지는 터키

노르웨이 시작으로 獨 등 동참

스웨덴 EU차원 무기금수 모색

美도 경제제재 카드 꺼냈지만

에르도안 "절대 멈추지 않는다"

유럽 국가들이 시리아 북동부 쿠르드족에 대한 군사공격에 나선 터키에 무기수출을 잇따라 중단하며 압박에 나섰다. AP통신에 따르면 터키의 군사작전 이튿날인 지난 10일(현지시간) 노르웨이가 터키에 대한 모든 신규 무기수출을 일시 중지한 데 이어 12일 네덜란드와 독일도 동참했다. 스웨덴은 이날 터키에 대한 전 유럽연합(EU) 차원의 무기 금수에 대한 지지를 끌어낼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EU는 오는 17~18일로 예정된 EU 정상회의에서 터키에 대한 제재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아랍권 국제기구인 아랍연맹(AL)도 이날 이집트 카이로에서 성명을 통해 터키군이 즉각 시리아에서 철수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터키군의 시리아 군사작전을 중단할 조치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유엔 안보리는 11일 터키의 군사작전 중단을 요구하는 성명을 채택하려 했지만 상임이사국으로서 거부권을 가진 러시아의 반대로 불발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터키의 쿠르드 공격을 용인했다며 ‘동맹을 무시했다’는 비판이 쏟아지자 뒤늦게 대(對)터키 경제제재 카드를 꺼내 들고 사태 수습에 나섰다.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은 11일 터키가 시리아 북동부 쿠르드 지역에서 군사작전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인종·종교적 소수집단을 겨냥할 경우 터키 정부 당국자를 응징할 새로운 권한을 재무부에 부여하는 행정명령에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므누신 장관은 “이 제재는 매우 강력한 것”이라며 “우리는 필요하다면 터키의 경제를 끝장낼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 상하원에서도 터키에 대한 제재법안 발의 움직임이 초당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관련기사



하지만 이 같은 미국의 움직임이 구체적인 효력을 발휘할지는 의문이다. 로이터통신은 이번 행정명령이 발효돼도 당장 제재가 시행되는 것이 아니고 제재를 단행하는 조건도 불확실하다고 지적하면서 실효성을 의심했다. 실제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은 이날 주재한 대테러 회의에서 “누가 어떻게 말하든 우리는 절대 멈추지 않는다”면서 미국의 경고에 상관하지 않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시리아 북동부에서 진행하고 있는 터키의 ‘평화의 샘’ 작전으로 민간인의 피해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유엔은 성명을 내고 “시리아 북동부에서 이미 약 10만명이 피란을 갔고 40만명에게 식수를 제공하는 상수도 시설이 파괴됐다”고 밝혔다. 작전 개시 나흘째인 12일 영국 런던에 본부를 둔 시리아 내전 감시단체인 시리아인권관측소는 적어도 20명 이상의 쿠르드족 민간인이 사망했다고 전했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