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셀트리온, 3분기 영업익 40% '껑충'

램시마SC 등 제품군 고른 성장세




셀트리온의 지난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40.1%나 증가하는 양호한 실적을 거뒀다. 유럽의약품청(EMA) 승인을 앞둔 램시마SC와 더불어 자회사 셀트리온제약의 치료제 등의 공급 계약 등 대부분의 제품 포트폴리오에서 고른 성장을 보인 것이 실적 향상을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셀트리온은 3분기 매출액이 2,891억원, 영업이익이 1,031억원으로 35.7%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고 6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25.1%, 영업이익은 40.1% 각각 증가했다.


셀트리온은 매출액 증가의 주요인으로 유럽의약품청(EMA) 승인을 앞둔 램시마SC 유럽 론칭 준비 및 미국 출시를 계획 중인 트룩시마의 공급 확대 등을 꼽았다. 시판을 앞둬 영업·마케팅권을 갖고 있는 자회사 셀트리온헬스케어에 물량을 이미 넘긴 만큼 매출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또 자회사 셀트리온제약의 케미컬의약품(고덱스) 매출 향상 및 다국적제약사 테바(TEVA)의 편두통 치료제 ‘아조비(AJOVY)’ 위탁생산(CMO) 공급 계약에 따라 매출이 추가적으로 발생한 점도 매출 증대에 기여했다고 덧붙였다.



회사는 램시마와 트룩시마, 허쥬마 등 대표적인 바이오시밀러의 유럽 시장점유율이 안정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오는 2030년까지 매년 1개 제품 이상의 후속 바이오시밀러 허가를 완료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현재 회사는 대장암 치료제 아바스틴(Avastin) 바이오시밀러 ‘CT-P16’,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휴미라(Humira) 바이오시밀러 ‘CT-P17’, 알레르기성 천식 및 만성 두드러기 치료제 졸레어(Xolair) 바이오시밀러 ‘CT-P39’ 등이 글로벌 임상을 진행 중이다. 이와 함께 15개 이상의 후속 바이오시밀러 제품군의 세포주 및 공정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셀트리온은 오는 2030년까지 해마다 1개의 바이오시밀러 제품 허가를 완료할 방침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램시마SC의 EMA 승인 후 조기 론칭 및 트룩시마의 미국 론칭 계획에 따른 공급 물량 증가로 이번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다”며 “임상 경쟁력을 바탕으로 2030년까지 매년 1개 제품 이상 후속 바이오시밀러 허가를 완료하게 되면 글로벌 탑티어 수준의 포트폴리오를 확보해 견조한 성장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