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에너지소비, IMF·금융위기 이후 첫 감소…경기침체 영향

국내 에너지 소비가 글로벌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경기침체로 산업·상업용 에너지 수요가 줄어든 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10일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에너지통계 월보’ 등에 따르면 올들어 7월 말까지 최종 에너지 소비량은 1억3,766만7,000TOE(석유환산톤)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1억3,895만3,000TOE)보다 0.93% 감소한 수치다. 하반기에 추세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면 2009년 이후 10년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하게 된다.


최종 에너지 소비가 전년 대비 감소한 것은 현재 방식으로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90년 이후 단 2차례밖에 없었다.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가 있었던 1998년에 무려 8.55% 줄었고, 글로벌 금융위기가 진행 중이던 2009년에도 0.55% 감소한 바 있다.

관련기사



부문별로는 올들어 지난 7월 말까지 산업용 에너지 소비가 총 8,362만3,000TOE로 1년 전보다 1.14% 줄었으며, 가정·상업용은 2.55%나 감소한 2,458만5,000TOE로 집계됐다.다만 수송용(2,500만2,000TOE)과 공공용(445만7,000TOE) 에너지 소비가 각각 0.86%와 2.46% 늘었다.

이처럼 최종 에너지 소비가 줄어든 것은 최근의 경제성장 둔화와 무관치 않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올해 들어 한국 경제는 1분기에 0.4%의 역성장을 기록한 뒤 2분기에 1.0% 플러스 성장으로 돌아섰으나 3분기에는 0.4%로 성장폭이 둔화했다. 이에 따라 올해 경제성장률은 1%대 후반에 그치면서 2009년(0.8%) 이후 최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조선업, 자동차의 생산 감소와 반도체 업체의 감산 등으로 인해 제조업의 생산능력이 줄어든 게 에너지 소비에도 영향을 미친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실제로 지난 9월 제조업 생산능력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2.2%나 줄어 14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1971년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장기간 하락세이자, 최대 하락 폭이다.
/세종=김우보기자 ubo@sedaily.com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