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지금은 늦었다? 운동 지금이라도 반드시 해야만 하는 결정적 이유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운동을 하지 않았던 노년층도 에어로빅이나 정원 가꾸기 등의 운동을 시작하면 심혈관질환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11일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팀(의과학과 김규웅 연구원)이 지난 2009년부터 2012년까지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60세 이상 고령인구 111만9,925명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빈도와 심혈관질환, 뇌졸중 발생 여부를 추적·관찰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대상자들의 신체활동 빈도 변화가 심혈관질환과 뇌졸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중등도 또는 고강도 신체활동을 늘리면 심혈관질환 위험이 감소하는 연관성을 확인했다.

중등도(moderate) 신체활동은 ▲정원 가꾸기 ▲30분 이상 활보 ▲춤추기 등이다. 고강도(vigorous) 운동은 ▲20분 이상 달리기 ▲싸이클 ▲에어로빅 등이다.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구체적인 변화를 살펴보면 중-고강도 신체활동이 전혀 없던 고령층이 2년 후에 신체활동 빈도를 늘리는 경우 심혈관계질환 발생위험도는 최대 11%까지 줄었다. 뿐만 아니라 주 1∼2회에서 주 5회 이상으로 중-고강도 신체활동 빈도를 늘렸을 때도 심혈관계질환 발생위험도가 10% 감소했다.


반면 중-고강도 신체활동을 중단하면 심혈관계질환 위험도가 높아졌다.

관련기사



예를 들어 주 5회 이상 꾸준히 중-고강도 신체활동을 실천한다고 응답했으나 이후 신체활동을 중단한 참가자는 심혈관계질환 위험도가 27%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이 중-고강도 신체활동은 심혈관계질환을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지만 고령자의 신체활동 빈도는 낮은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기간 이뤄진 두 번의 검진을 비교했을 때, 신체활동이 없던 고령자 중 약 22%만 신체활동 빈도가 증가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유럽심장학회지’(EHJ, European Heart Journal) 최근호에 게재됐다.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