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공기 마찰 줄여 연료 절감"…대우조선해양, 첫 공기윤활시스템 적용 LNG선 인도

대우조선해양이 그리스 마란가스로부터 수주해 건조한 LNG운반선/사진제공=대우조선해양대우조선해양이 그리스 마란가스로부터 수주해 건조한 LNG운반선/사진제공=대우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은 공기윤활시스템을 장착한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1척을 건조해 선주 측에 인도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선박은 그리스 마란가스로부터 2016년 6월 수주한 17만3,400㎥ 규모 LNG운반선으로 대우조선이 자체 개발한 공기윤활시스템 ‘DSME ALS(Air Lubrication System)’이 적용됐다.

공기윤활시스템은 에너지 절감 기술 중 하나로 선박 바닥 면에 공기를 주입해 선체와 바닷물 사이에 공기층을 연속으로 만들어 운항 중에 발생하는 마찰 저항을 줄여 연비를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대우조선해양에 따르면, 이 시스템을 적용하면 기존 LNG운반선 대비 5% 이상의 연료 절감이 가능하다. 이는 평균 선박 운항을 20년으로 볼 때, 약 1년 6개월 치에 달하는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규모다.

관련기사



신규로 건조되는 LNG운반선에 이 기술이 적용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다만, 일부 중고선 개조에 도입됐거나 컨테이너선 등에 적용돼 건조 중이다.

대우조선은 마란가스 측이 지난 10월 시운전을 통해 실제 이 선박의 연료 절감 효과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면서 그 성능에 만족감을 드러냈고, 이에 후속 선박에도 이 기술을 적용해 줄 것을 요청해왔다고 밝혔다.

대우조선 관계자는 “이번 건조 경험을 바탕으로 이 기술을 초대형컨테이너선, LPG운반선, 중형유조선 등으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한동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