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아세안 진출 기업, 통관 절차 애로"

부산상의 250개사 모니터링

베트남에 현지 법인을 세워 진출한 부산지역 상공인들의 말이다. 아세안 지역에 진출한 부산지역 기업들이 통관과정의 행정처리 문제, 인력난, 경제·사회적 시스템 부재 등의 애로를 현지에서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부산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아세안 국가를 상대로 교역하거나 현지에 진출해 있는 지역 기업 250개사를 대상으로 애로사항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르면 기업들은 대부분 까다로운 수출입 통관 절차와 원산지 증명서, 선적서류 등 과도한 서류 제시 요구로 애로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철강업체 관계자는 “국내에서 보내는 원자재에 대한 까다로운 통관 절차와 과도한 서류 요구로 애를 먹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하소연했다.


인력난과 관리 문제도 최근 크게 늘고 있다. 아세안 지역에 대한 글로벌기업의 진출과 투자가 늘면서 근로환경이나 급여 등에서 좋은 조건을 제시하는 기업으로 이직이 늘고 있고 이로 인한 인력 공백, 구인난을 겪고 있는 기업이 늘어난 것이다. 소프트웨어 개발과 공급을 하는 업체는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도 고임금을 좇아 이직하는 경우가 잦고 이직한 직원을 통해 회사 고유의 특허와 영업기밀 등이 경쟁기업에 고스란히 노출되고 있지만 이를 막을 수 있는 사회·경제적 시스템이 없어 고충을 겪고 있다.

관련기사



베트남에 진출한 한 상공인은 “남부 쪽에 진출하다 보니 수도권보다 우수 인재를 채용하기가 어렵고 공산주의 특성상 해고도 쉽지 않다”고 애로를 호소했다. 또 다른 상공인은 “친인척들과 함께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이직할 때 같이 옮겨 인력 공백이 생긴다”면서 “회사 고유의 특허나 영업방식 등의 노하우가 이직한 직원을 통해 너무 쉽게 도용되기도 한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25일부터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담이 지역 중소기업의 해외 수요선 다변화 과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계기가 되기 위해선 지역기업 비즈니스와 연계한 다양하고 실효성 있는 네트워킹 자리가 마련돼야 한다”며 “특히 한·아세안 비즈니스를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기능을 갖춘 컨트롤타워가 정부의 신남방정책의 전진기지인 부산에 설립돼야 한다”고 강조했다./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