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서울역 일대 들어서는 도시재생 '핫플'…중림창고·감나무집 등 28일 오픈




서울역 뒤 중림동 언덕 골목길을 걸어올라가다 보면 길 옆으로 길게 이어지는 새로운 건물이 눈에 띈다. 성요셉아파트 앞 오래된 판자건물과 창고를 개조해 28일 문을 여는 복합문화시설 ‘중림창고(조감도)’다. 앞으로 이곳에서 박지호 아레나 전 편집장이 2015년부터 인기리에 진행하고 있는 소규모 독서·커뮤니티 프로그램 ‘심야책방’과 ‘심야살롱’이 매달 열린다. 1980년대 말부터 중림동에 터를 잡고 의상실을 운영해온 송윤애 선생님의 아틀리에(수선집)와 도시 감성을 주제로 한 감각적인 편집숍 ’도시서점‘도 문을 연다.

서울시가 서울역 일대 서계·중림·회현동에 새로운 도시재생 핫 플레이스로 떠오를 앵커시설 8곳을 28일 일제히 개관, 30일까지 다양한 개관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27일 밝혔다. 가장 대표적인 시설은 전시와 판매, 문화활동 복합공간인 중림창고다. 이 밖에도 라이브공연과 전시가 이뤄지는 ‘은행나무집’, 서울역 풍광을 한눈에 조망하는 ‘마을까페’, 주민이 함께 이용하는 공유부엌·공유서가가 있는 ‘감나무집’이 들어섰다. 앞서 서울시는 서울역 일대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해 앵커시설을 조성하기로 하고 총 10개의 일반주택 및 건물을 매입한 바 있다. 이번 8개 시설 개관을 시작으로 내년 중으로 나머지 두 곳도 순차적으로 문을 연다.

서울역 일대 도시재생 거점시설 위치. /제공=서울시서울역 일대 도시재생 거점시설 위치. /제공=서울시


이들 앵커 시설 운영을 통해 일자리와 수익을 창출, 도시재생이 지속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다. 시설 운영은 서울역 일대 지역주민이 공동출자해 만든 도시재생기업(CRC) ‘서울 도시재생 사회적협동조합’과 ㈜요리인류의 컨소시엄이 맡는다.


한편, 서울역 일대 도시재생활성화 사업은 서울역과 중림동, 회현동, 서계동, 남대문시장 일대 총 5개 권역 195만㎡를 아울러 종합재생하는 내용이다. 서울시는 철도로 단절된 서울역 일대 동-서 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해 2017년 12월 서울역 일대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수립하고, 서울로7017을 중심으로 주변지역 재생을 추진하고 있다.

관련기사



퇴계로, 만리재로, 중림로 보행문화거리 등 총 8개소 약 4.2km를 정비해 보행환경을 개선하고, 남대문시장 상권 활성화를 위한 진입광장이 조성됐다. 중림동의 역사적 상징공간인 ‘손기정 체육공원’은 내년 6월 준공을 목표로 새단장 중이다.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