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언 도로에 염화칼슘 뿌리면 더 미끄러워 '블랙아이스' 매뉴얼 무용지물

14일 새벽 상주-영천고속도로 상·하행선에서 ‘블랙 아이스(Black Ice)’로 인한 다중 추돌사고가 동시에 발생했다./연합뉴스14일 새벽 상주-영천고속도로 상·하행선에서 ‘블랙 아이스(Black Ice)’로 인한 다중 추돌사고가 동시에 발생했다./연합뉴스



차량 44대 추돌 사고로 40여명의 사상자를 낸 상주-영천고속도로 ‘블랙 아이스 연쇄 추돌’과 같은 사고 재발을 막기 위해 대책이 시급하지만 명확한 매뉴얼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상주영천고속도로에 따르면 사고가 발생한 4일 새벽 무렵에는 기상청 강수 예보가 없어 염화칼슘 예비 살포를 하지 않았다. 상주영천고속도로는 눈·비 예보가 있는 상태에서 노면 온도가 3도 이하일 때 제설제를 예비 살포한다.

회사 측은 이후 사고 발생 약 50분 전인 오전 3시 57분께 이 고속도로 관리 위탁업체 소속 순찰원이 순찰 도중 비를 관측해 교통상황센터에 알려왔고 일대 기온도 2도 정도로 관측돼 차량 7대와 인력 11명을 동원해 염화칼슘 수용액 3만ℓ를 살포하기로 한 뒤 오전 4시 2분께 양방향 도로 제설에 착수했다고 설명했다. 전날 강수 예보가 없는 상태에서 당일 새벽 순찰 도중 비를 관찰해 예비 살포 조치를 했지만 사고를 막기에는 한발 늦은 것으로 풀이된다.


회사 측의 설명대로라면 선제대응이 있었지만 블랙아이스에 대처하지 못한 결과가 됐다. 대구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사고지점과 가장 가까운 관측장비인 소보 자동기상관측장비(AWS)에는 이날 오전 3시 42분부터 4시 31분까지 강수가 지속해서 감지됐지만 그 양이 미미했다. 아주 적은 양의 비에도 블랙아이스가 형성되는 점을 미뤄볼 때 볼 때 현재 대응 매뉴얼이 무용지물인 셈이다.

관련기사



유수재 한국교통안전공단 대구경북본부 교수는 “비 예보가 있어 미리 서너시간 전에 염화칼슘을 뿌리면 적은 비에라도 결빙으로 이어지지 않겠지만, 얼고 난 뒤에 염화칼슘을 뿌리면 길이 더 미끄러진다”며 “얼음 위에 소금이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유 교수는 “교각 위 같은 결빙 위험 구간을 염화칼슘으로 계속 대처하기엔 한계가 있고 열선을 설치하는 것도 시간이나 비용 문제가 있다”며 “우선 도로 진행 방향으로 그루빙 즉 홈을 내는 조치만 해도 제동거리를 줄이고 배수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14일 오전 4시 43분께 경북 군위군 소보면 달산리 상주-영천고속도로 영천 방향 차로에서 블랙 아이스로 인해 차량 44대 연쇄 추돌 사고가 발생해 모두 7명이 숨지고 40여명이 다쳤으며, 화물차 등 8대가 불에 타는 등 차 40여대가 파손됐다.

조예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