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김현미·유은혜마저 유임? 민주, 여성의원 '구인난'

女 30% 의무공천에 대체자 난항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유은혜 사회부총리유은혜 사회부총리


문재인 대통령이 총리 후보자 지명을 끝으로 ‘총선용 개각’을 사실상 마무리한 것으로 관측되면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과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등 정치인 출신 여성 장관들의 유임이 점쳐지고 있다. 이에 여권은 최근 법무부 장관 후보로 지명된 추미애 의원과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에서부터 이들까지 당에서 존재감이 큰 여성 의원 다수의 빈자리를 내년 총선에서 어떻게 채울지 고심하고 있다. 이들 의원의 지역구가 수도권, 그리고 소위 더불어민주당의 텃밭 혹은 우세지역으로 분류되는 곳인 만큼 당헌에 명시된 지역구 30% 여성의무공천 규정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여성우선공천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지만, 대체 가능한 경쟁력 높은 인물을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18일 여권에 따르면 최근 법무부 장관에 이어 국무총리까지 교체가 이뤄지며 김 장관과 유 사회부총리의 총선 출마 가능성은 극히 낮아진 상황이다. 민주당의 원내 핵심관계자는 “본인들의 의지는 매우 강하지만 정국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추가 개각이 이뤄지기는 힘들 것이라는 상황인식이 공유돼 있다”며 “물론 나중에 대통령 비서실장, 경기도지사 혹은 재보궐선거 같은 기회들이 찾아올 수 있겠지만, 김 장관도 그렇고 유 부총리는 특히 재선 의원인 만큼 3선을 하는 게 중요한지라 개인 입장에서는 큰 결단”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관련기사



이에 당 일각에서는 박영선 장관의 지역구인 구로을, 추미애 의원의 지역구인 광진을에 이어 경기 고양시정과 고양시병의 빈자리를 어떻게 대체할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민주당의 한 여성 의원은 “비례대표 여성 출마자를 구하기는 상대적으로 쉽지만 지역구에 들어갈 여성 후보를 구하기는 힘들다”며 “경쟁력 있는 인사를 영입하려 해도 공백이 생긴 네 개의 지역구 모두가 당 입장에서는 ‘옥토’이기에 쟁쟁한 남성 후보들을 제치기도 버거울 것”이라고 말했다. 당헌 8조에 명시된 지역구 30% 여성 공천 의무화 조항을 지키지 못하는 상황에 대한 우려가 대표적이다. 민주당은 지난 2013년 해당 조항을 당헌에 명시했고 2015년에는 여성정치참여확대위원회 설치를 명문화해 해당 규정을 지키도록 했다. 올 6월 민주당 여성정치참여확대위는 지역구 30% 이상을 여성으로 공천하는 것은 물론 당선 가능성이 높은 지역구에 배정해달라고 요구한 바 있다. 3선 의원인 김상희 여성정치참여확대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내년 총선은 차별 없는 평등시대를 열고 문재인 정부의 여성정책이 결실을 얻는 매우 중요한 해”라며 “지역구 여성 공천 30%를 너끈히 달성해 2020년 총선 승리의 견인차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정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