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은행 이어 핀테크까지 합류 오픈뱅킹發 무한경쟁 스타트

은행·핀테크 47개업체 참여

당국 "제2 금융권으로 확대"

은성수(왼쪽 네번째) 금융위원장이 18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오픈뱅킹 서비스 출범식’에서 윤면식(왼쪽부터) 한국은행 부총재, 김영기 금융보안원장, 류영준 카카오페이 대표, 김태영 은행연합회장, 김학수 금융결제원장, 권인원 금융감독원 부원장 등 금융기관장들과 오픈뱅킹 출범을 알리는 선포 버튼을 누르고 축하하고 있다. /사진제공=금융위원회은성수(왼쪽 네번째) 금융위원장이 18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오픈뱅킹 서비스 출범식’에서 윤면식(왼쪽부터) 한국은행 부총재, 김영기 금융보안원장, 류영준 카카오페이 대표, 김태영 은행연합회장, 김학수 금융결제원장, 권인원 금융감독원 부원장 등 금융기관장들과 오픈뱅킹 출범을 알리는 선포 버튼을 누르고 축하하고 있다. /사진제공=금융위원회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모든 은행의 계좌 조회와 이체·송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오픈뱅킹이 전면 시행됐다. 앞서 50일의 시범운영 기간에는 은행들만 참여했지만 이번에 핀테크까지 합류하면서 금융권 전체에서 치열한 서비스 경쟁이 펼쳐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시중은행은 전면 시행에 맞춰 경쟁력 있는 상품을 선보이면서 주거래 고객 쟁탈전에 적극 나서는 모양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결제원은 18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오픈뱅킹 서비스 출범 행사를 개최했다. 지난 10월30일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 은행 10곳 등 총 16곳과 핀테크 31곳이 오픈뱅킹 서비스를 제공한다. 씨티은행과 카카오뱅크는 내년 상반기 서비스를 개시하며 핀테크의 경우 보안 점검 등을 마친 후 순차적으로 참여한다.


특히 핀테크 가세로 금융권의 오픈뱅킹 경쟁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핀테크의 경우 오픈뱅킹 진입으로 수수료 부담 비용이 기존 금융결제망 이용 수수료의 10분의1 수준으로 낮아졌기 때문이다. 이들 업체는 무료송금 건수 확대 등 소비자 혜택을 대폭 늘릴 계획이다. 앞서 서비스 시범 운영 50일 동안 고객 315만명이 오픈뱅킹에 가입해 773만계좌를 등록했다. 1인당 평균 2.5개 계좌를 등록한 셈이다.

관련기사



이에 시중은행들도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인 서비스와 상품 강화로 주 고객 이탈 방어에 나섰다. 신한은행은 이날 타 은행 거래에서도 ‘간편앱출금’ ‘꾹이체’ ‘바로이체’ 등 주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오픈뱅킹 기능을 개선했다. KB국민은행은 오픈뱅킹에 등록된 타행 계좌의 출금과 조회를 ‘껐다 켰다’하는 기능을 새로 도입했다. 하나은행과 기업은행은 오픈뱅킹 전용상품을 내놓고 고객 모시기에 힘을 쏟고 있다.

금융당국은 향후 상호금융·저축은행 등 제2 금융권으로 오픈뱅킹을 확대할 방침이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이날 “금융의 미래 모습은 모든 금융권이 개방형 혁신에 참여하는 오픈 파이낸스”라며 “저비용·고효율의 인프라가 구축되는 만큼 단순한 고객 늘리기보다는 금융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경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