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김용범 기재부 차관 "마스크 생산량 日 800만→1,000만개 확대"

■확대 거시경제 금융회의 주재

김용범(왼쪽 두 번째) 기획재정부 1차관이 4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확대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제공=기재부김용범(왼쪽 두 번째) 기획재정부 1차관이 4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확대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제공=기재부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 확산에 대응해 하루 800만개인 마스크 생산량을 1,000만개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날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확대 거시경제 금융회의에서 이 같이 밝히며 “마스크 생산에 차질이 없도록 부직포 등 원자재 공급상황 등도 철저히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담합, 매점매석 등 국민의 안전을 볼모로 한 시장교란행위도 결코 묵과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불공정행위 적발 시 관련 법령에 따른 행정벌, 형사벌 등을 엄정하게 조치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차관은 신종 코로나 확산이 우리 실물 경제에 △방한 관광객 감소 △내수 위축 △발병국 경기 위축에 따른 수출 감소 등 3가지 경로로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그는 “이러한 경로들에 따른 영향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속보 지표를 마련해 일일 점검을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김 차관은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는 데 대해서는 “향후 전개상황을 예단하기 어려운 만큼글로벌 차원에서 감염증과 관련한 불안심리가 완화되기 전까지는 당분간 각별한 경각심을 가지고 시장 상황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이러한 때일수록 지나친 비관론에 매몰되기 보다는 금융시장과 그 시장의 기반이 되는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을 냉철하고 차분하게 뒤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신종 코로나 확산이 글로벌 차원의 리스크 요인으로 부각되는 것은 사실이나 현재 전반적 경제상황은 금융시장이 과도하게 반응할 만한 실물경제나 금융시스템 차원의 위기와는 거리가 멀다”고 강조했다.

/세종=한재영기자 jyhan@sedaily.com

한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