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단독]신종코로나에 공공기관 '차량2부제' 일부해제, 향후 적용확대 검토

환경부, 의료·공항·방역 분야 등 일시 중단

3일 서울 중구 명동역 인근 거리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유입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중구보건소 선별진료소 앞으로 관광객과 시민들이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3일 서울 중구 명동역 인근 거리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유입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중구보건소 선별진료소 앞으로 관광객과 시민들이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공포가 확산되자 정부가 바이러스 노출 위험이 있는 직종에 한해 공공기관 차량 2부제를 일시중단하기로 했다. 신종 코로나 사태가 더욱 심각해지면 다른 일반 직종에 대해서도 차량 2부제 추가 해제를 검토하기로 했다.


4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환경부는 지난 3일 공공의료·공항·감시·방역 분야 공공기관에 대해 차량 2부제를 일시적으로 해제한다고 통지했다. 환경부는 공무원 사회 일각에서 신종 코로나 감염을 줄이기 위해 대중교통 이용을 의무화하는 차량 2부제를 조정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커지자 지난달 31일 관련 안건을 국무조정실과 협의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차량 2부제의 큰 틀은 유지하되 신종 코로나 사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에 대해서만 해제하기로 의견이 모아졌다”고 설명했다. 차량 2부제 일시 해제 대상이 되는 4개 직군의 공공기관 종사자는 수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관련기사



환경부는 신종 코로나 사태가 악화할 경우 차량 2부제 중단 적용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최근 대중교통량이 눈에 띄게 줄어든 가운데 공무원 사회 역시 감염 공포가 크기 때문이다. 지난달 27일에는 익명 커뮤니티인 ‘블라인드’에 “(바이러스 확산이) 이 정도로 심각하다면 오는 3월31일까지 예정된 차량 2부제를 조기 중단해줘야 하는 것 아닌가” 등의 게시글이 다수 올라오기도 했다. 하지만 공공기관 차량 2부제가 공무원들이 먼저 미세먼지 저감에 앞장서자는 취지의 대책인 만큼 신중한 분위기도 감지된다. 정부 관계자는 “일반 시민들도 대중교통을 이용하는데, 공무원들이 이번처럼 바이러스가 확산될 때 더욱 솔선수범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공기관 차량 2부제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전 공무원을 대상으로 적용됐다. 겨울과 봄철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는 시기에 시행되는 일명 ‘미세먼지 계절관리제’의 일환이다.


손구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