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남인순 "통절한 반성"에 진중권 "역겨워…명예남성의 정치적 기회로 활용"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최고위원이 2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최고위원이 2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27일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추행 의혹에 대해 눈물을 흘리며 공개 사과한 가운데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가 이를 두고 “악어의 눈물”이라고 맹폭했다.

진 전 교수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남 최고위원을 정조준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피해자를 ‘피해호소인’으로 바꿔 부르자고 제안한 것이 당신이 아니었냐”고 반문하면서 “그러더니 이제 와서 울먹이느냐. 역겹다”며 강한 비판을 쏟아냈다.


진 전 교수는 “당신은 피해자를 ‘피해자’로 부르지도 못하게 했다. 그로 인해 피해자는 문팬들의 2차 가해에 시달려야 했고, 아직도 시달리고 있다”며 “그 2차 가해에는 대표적인 문빠 지식인들이 대거 가담했다. 이렇게 피해자가 또 다른 피해를 입고 있을 때, 당신은 한 마디도 하지 않았다”고 쏘아붙였다.

그러면서 “당신은 대통령이 안희정 모친의 빈소에 공식적으로 조화를 보내려 했을 때, 이를 말렸어야 한다. 말리지 못했다면 비판이라도 했어야 한다”며 “가족장으로 하려던 박원순 시장의 장례식을 당에서 ‘서울시장(葬)’으로 바꿔놓으려 했을 때, 이를 말렸어야 한다. 말리지 못했다면 비판이라도 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하지만 당신은 아무 일도 하지 않았다”며 “아니, 더 정확히 말하면 외려 가해자의 편에 섰다”고 날을 세웠다.

진 전 교수는 남 최고의원을 향해 “이 불행한 사태를 당신은 고작 자기들처럼 남성주의 권력에 빌붙어 사는 여성 아닌 여성, 명예남성들의 정치적 지위를 끌어올리는 기회로 활용하려 하고 있다”고 비난하기도 했다. 그는 “피해는 힘없는 여성들이 보고, 재미는 힘 있는 여성들, 그저 생물학적으로만 여성인 분들이 본다”며 “이게 여성해방이냐”고 물었다.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연합뉴스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연합뉴스


앞서 남 최고위원은 박 전 시장이 사망한지 18일 만인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너무나 참담한 마음과 죄책감이 엉켜 많은 어려움이 있었음을 양해해달라”며 박 전 시장의 성추행 의혹에 대해 사죄의 뜻을 밝혔다. 남 최고위원은 이 말을 하며 울먹이기도 했다.


그는 “세상이 달라지고 국민 눈높이가 달라졌다. 민주당 지방자치단체장의 연이은 성폭력 사건은 여성 유권자를 분노케 했고 웬만하면 민주당을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며 “통절히 반성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자체장 등 선출직 공직자의 위력에 의한 성폭력 문제를 뿌리 뽑기 위해서는 권력 관계 성불평등을 성 균형적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여성운동가 출신인 남 최고위원은 대표적 박원순계로 분류되는 민주당 의원이다. 박 전 시장 실종 당일 박 전 시장과 통화한 인물이기도 하다. 20년 넘게 여성운동을 해 온 그는 당내에서 ‘젠더폭력근절대책TF’ 단장을 맡고 있다.

하지만 그는 박 전 시장의 사망 이후 피해자를 ‘피해 호소인’으로 지칭하는 것을 주도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여론의 비판을 받아왔다. 침묵을 지키던 남 최고위원은 더 이상 여론 악화를 두고 볼 수 없다는 판단 아래 공개 사과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남 최고위원은 성폭력 문제 근절을 위해 당내 지명직 최고위원 2명을 여성으로 하는 방안을 지도부에 제안하기도 했다. 민주당 최고위원은 당대표와 원내대표, 선출직 5명과 당대표 지명직 2명으로 구성된다. 현재는 선출직 최고위원 5명 중에서만 여성 1명 이상을 포함하게 돼 있다.

또 “성폭력 가해자 또는 가해자로 지목되는 경우 공천 대상에서 원천 배제할 것을 다시 한 번 천명한다”며 “국회의원 보좌진 채용시에도 하위직에 집중해 여성을 선발하는 것 아니라 직급별로 골고루 채용할 것을 이미 여러 번 권고했고 민주당이 솔선수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남 최고위원은 “여성 최고위원으로서 지도부였으나 당 어젠다(의제)로 젠더 이슈를 우선순위로 이끄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며 “당내 젠더폭력상담 신고센터 설치 규정을 만들었으나 전담인력을 보장받지 못해서 선거기간 동안에만 용역으로 외부 전문가를 쓸 수밖에 없었다”고 유감을 표하기도 했다.

조예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