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피해 볼까 두려워…공공부문 성폭력 상담 늘었지만 신고 줄었다

“직장 내 불이익 두려워 상담만하고 신고 꺼리는 듯”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공공부문 직장 내 성폭력 문제를 상담하는 사람은 늘었지만 실제 신고하는 일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를 공론화하면 피해를 입을 것에 두려워 침묵하는 것이 아닌지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7일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여성가족부로부터 받은 심사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공공부문 직장 내 성희롱·성희롱 신고센터(이하 신고센터)에 접수된 익명 상담은 모두 887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389건)보다 2.3배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전체(1,018건)로도 전년(953건)보다 6.8% 늘었다. 상반기 공공기관 내의 성희롱·성폭력에 관한 상담 신청은 384건(43.3%)이 접수됐다. 민간단체에서의 상담은 478건(53.9%)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에서는 성희롱에 대한 상담이 106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성폭력(96건)과 2차 피해(16건)에 대한 상담이 뒤를 이었다. 민간기관에서는 성폭력(198건) 상담이 가장 많았으며, 성희롱(153건), 2차 피해(12건) 순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신고센터에 정식으로 피해를 신고한 건수는 줄고 있다는 것이다. 올해 상반기 신고 건수는 모두 52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8건)의 76.5% 수준에 그쳤다. 상반기 기관별 신고 건수를 보면 민간단체(25건)가 가장 많았다. 이어 지방자치단체(11건), 공직 유관 기관(7건), 각급 학교(6건), 중앙행정기관(3건)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전체 기관의 신고 내용별로는 성희롱이 30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성폭력(16건), 2차 피해(4건)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양경숙 의원은 “성희롱·성폭력 상담이 늘어난다는 것은 성희롱·성폭력이 그만큼 늘어났다는 것”이라며 “그럼에도 신고가 줄고 있다는 것은 성희롱·성폭력을 당하고도 직장에서 받을 불이익이나 2차 피해가 두려워 익명으로 상담만 하고 신고를 하지 못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이경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