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코로나 사태' 일시 휴직자, 외환위기·금융위기 보다 많아

한은 "상반기 120만명 급증"...당장 해고보다 일시휴직 조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사태로 일시휴직자가 1997년 외환위기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보다 훨씬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시 휴직자는 임시직과 자영업자, 여성, 60대 이상 계층에서 크게 늘었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일시 휴직자 현황 및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여파로 올해 1·4분기와 2·4분기 일시 휴직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46만명, 73만명 급증했다.


일시 휴직자는 국제노동기구(ILO) 기준에 따라 일시적 병·사고, 연·휴가, 사업부진·조업중단, 교육, 노사분규 등의 이유로 조사 대상 기간에 일하지 못했지만 사유가 해소되면 복직이 가능한 사람을 말한다.

관련기사



코로나19에 따른 일시 휴직자 증가 폭은 외환위기 여파가 미쳤던 1998년 3·4분기의 12만명, 금융위기 당시 2009년 1·4분기의 7만명을 크게 웃돈다.

지난달 10일 서울 중구 서울지방고용노동청을 찾은 시민들이 실업급여 설명을 듣고 있다./성형주기자지난달 10일 서울 중구 서울지방고용노동청을 찾은 시민들이 실업급여 설명을 듣고 있다./성형주기자



외환·금융위기 상황에서는 기업 도산이 대량 해고로 이어져 일시 휴직자가 아닌 실업자가 양산됐지만, 이번 코로나19 위기의 경우 감염병에 따른 조업중단 등으로 실업보다 일시 휴직이 크게 늘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종사자 지위별로는 임시직(3∼7월 81만5,000명)과 자영업자(+37만6,000명)의 일시 휴직이 급증했다.

연령별 일시 휴직자를 보면 60세 이상(3∼7월 65만명)과 15∼29세(18만5,000명)에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고령층의 노인 일자리 사업, 20대 이하 취업자 비중이 큰 예술·스포츠·여가·숙박음식 등 대면 업종이 코로나19로 타격을 많이 받은 결과로 해석된다. 또 남성 보다는 여성의 일시 휴직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시직 중 여성의 비율이 60.5%(2019년 기준)로 높은 데다 코로나19 피해 업종인 보건복지·교육·숙박음식 등의 여성 비중이 크기 때문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박창현 한은 조사총괄팀 과장은 “최근 코로나19 재확산이 앞으로 일시 휴직자의 고용 안정화 속도를 느리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