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산불이 미국 서부에서 엄청나게 번지고 있는데 또 다시 지구 온난화를 부채질 하잖아요. 실상 지구촌 곳곳의 문제인데 우리도 기후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기후악당국’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임춘택(57·사진)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장은 17일 서울 삼성동 사무실에서 서울경제와 인터뷰를 갖고 “지구 온난화로 남미 아마존, 호주, 인도네시아, 아프리카, 심지어 시베리아까지 대형산불이 끊이지 않고 이상기후도 빈번해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카이스트 전자공학 박사인 그는 국방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청와대 안보실 행정관을 거쳐 카이스트 항공우주공학과 전문교수와 원자력·양자공학과 부교수, 광주과학기술원 융합기술원 교수를 거쳐 2018년부터 에기평을 맡고 있다.
그는 “지구 평균 온도가 산업혁명 이후 이미 1도가량 올랐고 우리나라는 더 올랐다. 그런데도 여전히 온실가스 배출량 세계 7위, 1인당 배출량 4위로 국제사회에서 기후악당 소리를 듣는다”며 “발전·수송·건물·산업·자원 등 전 분야에 걸쳐 환경과 사람이 중심이 되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화석연료 중심 에너지 체제에서 벗어나고 있는 세계적 추세에 발맞춰 우리도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해 에너지 수입을 줄이고 지역 주민의 발전도 꾀하며 수출 사업화에 나서야 한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임 원장은 “기후변화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해 탈석탄을 꾀하면서 풍력과 태양광 발전의 기술혁신에 박차를 가해 해상·육상·빌딩에 대한 적용을 늘려야 한다”며 “원전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폭발에서 교훈을 얻어 미래세대에 부담이 안되게 안전하게 충분히 쓰면서 시장이 훨씬 큰 방사선 산업을 키워야 한다”고 역설했다. 실제 미국은 MIT나 스탠포드대 등에서 방사선 산업을 의료는 물론 농식품, 비파괴검사 등 산업, 테러방지를 위한 안보 등 연구개발(R&D)과 사업화에 나서고 있다고 소개했다. 원전 건설의 대명사처럼 인식되는 중국의 경우도 원전도 많이 짓지만 신규 에너지 전략분야 투자의 4분의 3을 재생에너지에 쓰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코로나19 위기가 환경파괴에서 촉발된 측면이 있다는 점에서 이번 사태가 에너지전환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이제는 석유·석탄 등 화석연료 의존에서 벗어나 친환경 발전전략이 생존의 문제가 됐다”며 “재생에너지와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기술혁신으로 경제성도 급속히 향상돼 예상보다 빨리 저탄소·에너지 효율화 쪽으로 바뀔 것”이라고 분석했다.
태양광의 경우 국산화율이 75%에 달하는데 외국산에 대해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을 따져 봐야지만 국산과 동등한 혜택을 부여하는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를 해줄 필요가 있느냐는 지적도 나온다고 했다. 천연가스의 경우에도 온실가스 배출량이 석탄의 절반 가량 나와 신재생에너지만은 못하다고 설명했다.
임 원장은 코로나19 사태를 맞아 올해부터 R&D기획의 ‘온라인 메타기획 평가 제도’를 도입하는 등 과제 기획·평가에서도 혁신을 꾀하고 있다. 온라인으로 과제를 기획하고 의견을 주고받으며 기획위원을 평가하는 것이다. 2018년 실시한 ‘메타평가’를 통해 평가위원은 평가위원장이, 평가위원장은 에기평이, 에기평은 과제 발표자가 각각 평가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던 것보다 진일보한 것이다.
그는 “갑과 을의 개념이 사라지며 과제 기획·평가의 질이나 공정성·책임성이 높아지는 획기적인 방안”이라며 “청렴보안관 제도를 만들어 과제 선정·평가와 연구비 비리·횡령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연구자에 대한 기술·사업화 컨설팅도 확대하고 있다”고 힘줘 말했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