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KT 용산 데이터센터 개소...서울권역 최대규모

KT, 국내 최초 단일회선 100Gbps 속도 제공

서버 10만대 수용

AI IDC로 진화 목표

구현모 KT 대표이사 사장이 지난 4일 서울 ‘KT DX IDC 용산’에서 열린 개소식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용산 IDC는 KT의 13번째 IDC로 8개 서버실에서 10만대 이상 대규모 서버 운영이 가능한 서울권 최대 규모의 데이터센터다./사진제공=KT구현모 KT 대표이사 사장이 지난 4일 서울 ‘KT DX IDC 용산’에서 열린 개소식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용산 IDC는 KT의 13번째 IDC로 8개 서버실에서 10만대 이상 대규모 서버 운영이 가능한 서울권 최대 규모의 데이터센터다./사진제공=KT


디지털 플랫폼 기업을 향한 KT(030200)의 진화를 이끌 ‘용산 인터넷 데이터센터(IDC)’가 문을 열었다.

KT가 서울 용산구에 ‘KT 디지털 전환(DX) IDC 용산’을 완공하고, 본격 가동을 시작했다고 5일 밝혔다. 용산 IDC는 KT의 13번째 인터넷 데이터센터로 서울권 최대 규모다. 연면적 4만 8,000㎡에 지상 7층, 지하 6층 규모를 갖췄다. 8개 서버실에서 10만대 이상 대규모 서버 운영이 가능하다. 이는 국립중앙도서관 3만개의 데이터를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이다.

용산 IDC는 빠른 네트워크 속도를 강조하기 위해 ‘DX’를 이름에 붙였다. IDC 자체 네트워크를 통해 단일회선으로 100Gbps 속도를 제공하는 것은 용산 IDC가 국내 최초다. 또 ‘원 IDC(One-IDC)’ 구조로 테라급(Tbps) 데이터처리가 가능해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수도권에 위치한 KT의 IDC(용산, 목동, 강남, 분당)를 연결해 하나의 거대한 IDC 형태로 구성하고, 최대 네트워크 경로를 8개로 다원화했다. 이를 통해 한 IDC에서 갑작스럽게 대용량 트래픽이 발생해도 차질 없이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다.

관련기사



장석영(사진 앞줄 왼쪽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 이원욱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문용식 한국정보화진흥원 원장, 구현모 KT 대표이사 사장 등이 지난 4일 서울 용산구 KT DX IDC 용산에서 관계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사진제공=KT장석영(사진 앞줄 왼쪽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 이원욱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문용식 한국정보화진흥원 원장, 구현모 KT 대표이사 사장 등이 지난 4일 서울 용산구 KT DX IDC 용산에서 관계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사진제공=KT


용산 IDC는 초연결 교환(HCX) 서비스를 통해 아마존, 구글을 비롯한 국내외 모든 클라우드 시스템에 직접 연결이 가능하다. 로컬 기기와 클라우드가 혼합된 IT 환경에서 KT 전문인력들이 운영 및 관리를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매니지드 서비스 프로바이더(MSP)’도 지원한다.

KT는 용산 IDC를 ‘AI 데이터센터’로 성장시킨다는 목표다. AI 플랫폼 기반의 설비 자동화와 함께 3D 모델링을 통한 공간 운영 효율화, 사물인터넷(IoT) 및 빅데이터 기반의 자동진단 시스템 구축, 각지의 IDC 통합운영을 통해 IDC 자체의 DX를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용산 IDC는 냉수식 항온기, 냉수식 프리쿨링 등 고효율 설비를 갖춰 냉방용 전력비를 기존 대비 20% 이상 절감할 수 있다. 또 국내 IDC최초로 변전소 이원화, 특등급의 내진설계로 비상상황에 대한 대비를 마쳤다. 윤동식 KT 클라우드/DX사업단장 전무는 “용산 ICT가 KT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의 변신에 중추적 역할을 해낼 것으로 기대한다”며 “차별화된 인프라와 솔루션을 통해 기업의 ‘최고 디지털혁신 파트너’가 되겠다”고 말했다.


김성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