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로 격변하는 노동 시장 환경이 오히려 5060세대에게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고용에 대한 발상 전환과 함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록 기존에 보지 못했던 분야에서 일자리가 새롭게 창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남경아 서울시50플러스재단 일자리사업본부장은 1일 재단이 주최한 '50플러스 일자리 특별포럼' 토론회에서 "코로나19로 인해 50플러스 세대들의 고용충격이 컸지만, 새로운 고용 기회도 엿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남 본부장은 "코로나 19 대응으로 정부가 추진하는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사업을 잘 살펴보면 5060세대가 할 수있는 틈새 일자리가 많이 있다"며 "공공 의료분야, 돌봄, 그린 리모델링, 마을정원 꾸미기,로컬 모빌리티, 건강한 먹거리 산업 등이 대표적인 분야"라고 소개했다.
그는 "로컬 모빌리티를 예로 들면 전국 지자체들이 운영하는 공유 자전거의 경우 최근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면서 "이에 따라 공유 자전거를 수리하는 수리공, 공공거치대를 설치 운영하는 인력, 자전거 강사, 자전거 수송인력 등 50플러스 세대들에게 일자리가 더욱 많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서울시의 공유 자전거 서비스인 '따릉이'는 누적 회원수가 180만명을 넘어섰고, 누적 대여건수도 3,000여만건에 이른다.
남 본부장은 "정부의 그린 뉴딜 사업이 본격화하면서 도시재생, 그린 스마트 뉴딜 분야 등에서도 많은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이라며 재단이 올해 시범적으로 진행한 스마트시티 사업을 소개했다. 이 사업은 재단이 공공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의 기획과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50플러스 세대를 선발해 17개 스마트 시티 관련 기업에 파견하는 사업이다. 그는 "프로젝트 기획 운영과 에너지 절감 컨설팅 분야에 관련 경험이 있는 5060세대를 투입했다"면서 "기업들의 반응도 좋아 내년부터는 노후주택 리모델링, 친환경 연료, 단열재 교체, 공기질 측정 데이터 관리 등의 분야에 5060 전문가들을 투입해서 규모 있게 사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가열 한국고용정보원 미래직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선 발상 전환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50플러스 세대를 위한 새로운 일자리를 억지로 찾는 것보다 이미 하고 있는 분야를 어떻게 친환경과 연결하느냐, 디지털 기술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새로운 일들이 생길 수 있다"며 "새로운 기술에만 집착할 게 아니라 발상의 전환으로 없던 일을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 부연구위원은 "어쩌면 코로나19는 인류가 자연을 무분별하게 정복의 대상으로 여겨왔던 것에 대해 스스로 되돌아볼 수 있는 시간을 준 것으로 볼수도 있다"며 "앞으로는 자연친화적, 탄소중립적인 방향에서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어야 하고 이런 과정에서 새로운 영역에서 다양한 일자리가 생길 것"이라고 내다봤다.
남 본부장은 5060세대의 노동 참여를 늘리기 위해 중소기업공유고용 모델을 제시했다. 그는 "올해 재단이 실험한 모델 중 하나가 중소기업 공유 고용"이라면서 "일 거리는 있지만 정규직 인원을 채용하는데 부담을 느끼는 중소기업이 모여서 고용 비용을 나누는 게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실제 50플러스 세대 전문가 20명을 7개 기업이 나눠 채용했는데 계약이 끝난 후 70%가 해당 기업의 고용으로 연결됐다"고 덧붙였다. 그는 다만 "이 같은 새로운 고용 모델이 자리 잡으려면 전통적 방식의 고용에 따르는 노무, 인사, 계약 관계 등을 모두 바꿔야 하는 점이 걸림돌"이라고 아쉬워했다.
이날 토론회에선 5060 세대의 고용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지원 방향도 공개됐다. 김태은 고용노동부 고령사회인력정책과 서기관은 "내년 정부가 추진할 신중년의 고용 정책 방향은 크게 두가지"라면서 "첫째는 이들 세대의 고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 정책을 강화하는 것이고, 둘째는 기존에 제도들에 대해 현장의 의견을 수렴해 개선해 나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서기관은 "산업구조의 변화로 기존 일자리에에서 퇴직하는 나이대가 빨리지고 있지지만 그럼에도 주된 일자리에서 고용을 계속 유지할 경우 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정책을 계속해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올해 5월부터 1,000명 이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재취업지원 서비스 의무화를 시행하고 있다"면서 "새해에는 의무화 대상이 아닌 기업에 대해서도 컨설팅 교육을 지원하고, 재취원 지원 서비스 내용을 한층 더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 앞서 진행된 주제 발표에서는 이원재 LAB 2050대표가 '대전환 시대, 50플러스 세대의 일자리는 어디에 있는가'를 주제로 발표했다. 이 대표는 "우리나라 경제를 이끌어온 제조기업들의 1991년부터 최근 30년 간 부가가치 그래프를 보면 급격하게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며 "하지만 이들 기업이 창출한 일자리는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정체돼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공장 자동화로 인력 수요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억지로 일자리를 만들어내라고 강요할 방법도 마땅치 않다"며 "이제는 '기업이 돈을 벌면 일자리가 많아지고, 노동자는 근로 소득을 통해 평생고용을 누릴 수 있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국가가 더 개입하는 일자리 모델을 제안했다. 그는 "국가가 국민이 의식주처럼 생존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원을 보장하고, 그 바탕 위에서 각자가 마을공동체와 사회적 경제를 위해 일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할 때가 됐다"며 "기본적인 소득을 보장 받는 상황에서 각자가 보람과 가치 찾아서 일자리 늘려 나갈 수 있는 모델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 결과”라고 규정하며 “디지털 기술 발달에 따른 초연결 사회 진입, 코로나19로 인한 생활양식의 대격변 등에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일자리 대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민우기자 ingaghi@lifejum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