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전셋값 급등에 결국 은행으로...올 전세대출 사상 첫 20조↑

5대 시중은행 잔액 103조 돌파

11월은 은행 총량관리로 증가세 주춤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연합뉴스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연합뉴스



올해 주요 은행 전세자금대출 잔액이 11개월 사이 23조원 가까이 늘어났다. 계속되는 주택 관련 대출 규제, 올해 임대차 3법으로 전세가격이 급등하자 부족한 전세자금을 대출로 메운 결과로 풀이된다.

3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11월 말 현재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103조 3,392억원이었다. 지난해 12월 말(80조 4,532억원)보다 22조 8,860억원 급증했다. 연간 전세대출 잔액 증가분이 20조원을 돌파한 것은 올해가 사상 처음이다.


월별로 보면 전세 성수기, 비수기를 가리지 않고 꾸준히 잔액이 불어났다. 지난 2월에 역대 최대인 3조 3,000억원 증가(전월 대비)했고 3월(2조 6,000억원)과 4월(2조 3,000억원)에도 2조원대 증가세를 이어갔다. 이후 5월과 6월에 1조원대로 내려갔지만 7월(2조 2,000억원), 8월(2조 6,000억원), 9월(2조 8,000억원), 10월(2조 5,000억원)까지 넉 달 연속 2조원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이는 전셋값 급등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정부가 지난해 11월 시가 9억원 초과 주택 보유자의 전세자금 대출을 막는 규제를 예고하자 올해 2~3월에 전세대출을 받으려는 ‘막차’ 수요가 집중 됐다. 하반기에는 정부의 새 임대차보호법 시행 등으로 서울을 비롯한 전국에서 전셋값 상승세가 가팔라졌고 이에 따라 전세대출도 급증했다. 정부의 지난해 말 대출규제 발표로 투기적 성격의 전세대출은 사실상 막혔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 중반 이후의 대출은 실수요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11월에는 1조 6,000억원이 증가했는데 주요 은행이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위해 일부 전세자금대출을 중단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시장에서는 전세대출 잔액이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전셋값이 많이 올랐고 물량 자체도 없는 상황에서 자녀 학군에 맞춰 고액 전세 지역으로 이사하려는 수요는 여전하기 때문이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