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바이든, 국방장관에 오스틴 지명...'첫 흑인' 국방장관 나오나

'첫 흑인' 기록 깨온 '전장의 사령관'

'인종 다양성' 고려...IS 퇴치 지휘

동아시아 경험 부족,,,요건 미충족 논란도

바이든 기고문서 "신속한 인준" 호소

바이든 행정부 첫 국방장관에 지명된 로이드 오스틴 전 중부사령관./EPA 연합뉴스바이든 행정부 첫 국방장관에 지명된 로이드 오스틴 전 중부사령관./EPA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8일(현지시간) 4성 장군 출신의 로이드 오스틴 전 중부사령부 사령관을 국방부 장관에 공식 지명했다.

오스틴이 상원 인준 청문회를 통과하면 미 역사상 최초의 흑인 국방장관이 탄생한다.


블룸버그통신 등은 바이든 당선인이 이날 성명을 내고 지명 사실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바이든 당선인은 “우리는 상황실에서 군대와 함께 많은 시간을 보냈고, 나는 그의 품성을 목격했다”며 “오스틴 장군은 우리나라가 힘의 본보기가 아니라 본보기의 힘으로 이끌 때 가장 강력하다는 나의 깊은 신념을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스틴은 1975년 미 육군사관학교(웨스트포인트)를 졸업한 이후 41년간 군에서 복무한 뒤 2016년 전역했다. 해외는 주로 유럽과 중동 지역에서 근무했고, 중국이나 한국 등 동아시아와 관련한 경험은 특별히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스틴은 2012년 첫 흑인 미군 참모차장이 됐고, 1년 후 첫 흑인 중부군 사령관에 취임해 이라크와 시리아에서 극단주의 테러조직 이슬람국가(IS) 퇴치 전략을 지휘했다. 이런 경력 탓에 그는 백인이 주류를 이루는 군 지도부에서 무수한 장벽을 깬 ‘전장의 사령관’으로도 불린다.

관련기사



2009년 한 행사장에 참석한 바이든 당선인과 오스틴 지명자./EPA 연합뉴스2009년 한 행사장에 참석한 바이든 당선인과 오스틴 지명자./EPA 연합뉴스


특히 바이든 당선인은 부통령 시절이던 2010년 오스틴이 이라크 주둔군 사령관이 됐을 때 바그다드에서 열린 취임식에 직접 참석했을 정도로 개인적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인선은 내각이 ‘미국처럼 보이도록 하겠다’‘는 바이든 당선인의 약속대로 행정부에 다양한 인종을 골고루 등용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평가된다.

애초 미 언론은 백인인 미셸 플루노이 전 국방부 정책담당 차관이 첫 여성 국방장관 지명자로 유력하다고 보도했지만 결국 오스틴이 낙점을 받았다. 바이든 당선인은 소위 내각의 ’빅4‘로 불리는 자리 중 국무, 재무 장관 지명자에 백인을 발탁한 이후 남은 국방, 법무 장관은 비백인이 맡아야 한다는 요구에 직면했다.

그러나 오스틴은 언론을 통해 지명 사실이 알려진 직후 벌써 논란에 휩싸이며 만만치 않은 인준 청문회를 예고하고 있다. 현행법상 국방장관이 되려면 퇴역 후 7년이 지나야 하지만 4년밖에 되지 않아 오스틴은 의회로부터 이 조항 적용 면제 승인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이 면제 승인을 받은 이는 1950년 조지 마셜, 2017년 짐 매티스 국방장관 등 2명밖에 없다.

바이든 당선인도 이 논란을 의식한 듯 미 매체 애틀랜틱 기고문에서 자신이 오스틴을 발탁한 이유를 설명한 뒤 “국가가 직면한 막대하고 긴급한 위협과 도전을 생각할 때 신속한 인준이 필요하다”며 의회의 면제 승인을 호소했다. 포린폴리시는 오스틴이 퇴역 후 군수업체 레이시온의 이사회에서 활동했다며 이는 민주당 진보 진영의 관점에서 중대한 장애물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지웅배 인턴기자 sedation@sedaily.com

지웅배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