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지난해 민관 89조 투자…'R&D 강국' 코리아

■과기정통부 조사

GDP 대비 세계 2위…OECD 5위

1015A18 주요국 총 연구개발비 및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R&D)비 비중은 전년 대비 0.12%포인트 증가한 4.64%로 세계 2위를 기록했다. 이는 1위인 이스라엘(2018년 기준 4.94%)과 거의 차이가 없는 수준이다. 정부와 국내 기업이 쓴 연구개발비 총액은 지난해 89조 원이 넘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5위를 차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만 7,095곳을 조사한 ‘2019년 연구개발(R&D) 활동 조사’ 결과를 제25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에 보고, 다음 달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국가통계포털(KOSIS) 등에 공개하고 OECD에도 보내기로 했다고 9일 밝혔다.

그 결과 지난해 총연구개발비는 89조 471억 원(764억 달러)으로 전년보다 3.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체 71조 5,067억 원(80.3%), 공공 연구 기관 10조 1,688억 원(11.4%), 대학 7조 3,716억 원(8.3%) 순이었다. 민간 재원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8조 5,216억 원이었고 정부·공공 재원은 전년보다 4% 늘어난 19조 995억 원이었다.


단계별로는 개발 연구에 55조 9,446억 원(62.8%), 응용 연구에 20조 401억 원(22.5%), 기초연구에 13조 623억 원(14.7%)이 투자됐다.

관련기사



연구원 수는 전년 대비 4.7%(2만 3,966명) 증가한 53만 8,136명이었다. 이중 상근 연구원(FTE)은 5.5% 증가한 43만 690명으로 세계 5위 수준이었다. 지난해 경제활동 인구와 전체 인구 1,000명당 각각 연구원 수는 15.4명, 8.3명이었다.

연구원 수는 기업체 38만 7,448명(72.0%), 대학 11만 619명(20.6%), 공공 연구 기관 4만 69명(7.4%) 순이었다. 1인당 연구개발비(FTE 기준)는 전년 대비 1.5% 감소한 2억 675만 원(17만 7,396달러)였다. 이는 중국(15만 9,386달러)과 영국(16만 1,743달러)을 제외한 주요 선진국보다 낮은 수치다.

여성 연구원은 전년 대비 8.1% 증가한 11만 3,187명(21%)으로 지난 10년간 지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그 비중이 일본보다는 높지만 여전히 영국·독일·프랑스에 비해서는 낮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