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한 해 팬데믹을 기회로 바꾼 기업들은 무엇이 달랐을까.
10일 한국 마이크로소프트와 시장조사업체 IDC 조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기업들이 기존 서비스에 디지털 기술을 도입한 반면 기회로 바꾼 기업들은 서비스를 아예 새로 설계하는 방식을 취했다. 팬데믹 상황 자체가 이제 ‘노멀’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 서비스 대신 새롭게 서비스를 설계한 전략이 주효했다는 것이다.
조사에서는 기업의 혁신문화 성숙도에 따라 전통주의자·초보자·도입자·선도자 등 4가지 단계로 나눴다. 한국에서 선도자 단계에 들어선 기업의 비율은 팬데믹을 기점으로 0.9%에서 2.7%로 3배 가량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국내 전체 기업의 혁신문화 성숙도는 12% 성장했다.
국내 기업 48%는 팬데믹을 새로운 기회로 인식하고, 낙관적 성과를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81%는 회복탄력성 확보에 있어 혁신 능력을 중요하게 판단하고 있었다.
이날 이지은 대표는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통해 기업이 닥친 위기를 빠르게 극복하고 새로운 기회를 잡기 위해선 디지털 기술 역량과 빠른 속도가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이 대표는 “우리는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면 위기가 되고, 속도를 내면 기회가 되는 급변하는 세상에 살고 있다. 지금은 속도를 내야할 때”라며 “국내 기업이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기술을 기업 고유의 것으로 내재화하는 ‘테크 인텐시티(Tech Intensity)’를 실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내년까지 이 상태가 지속된다면 이 자체가 노멀이라고 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MS의 디지털 전환 모델인 ‘디지털 피드백 루프’를 제시했다. 데이터와 인텔리전스를 핵심에 두고 고객에서 직원, 영업에서 제품까지 모든 비즈니스를 디지털로 연결하는 개념이다.
아울러 조직이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고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완수하는데 필요한 △대응 △회복 △재구상 등 ‘3R’을 강조했다.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서는 3R의 반복과 개선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디지털 피드백 루프와 3R을 적용한 국내 기업과의 협업 사례도 소개됐다. SK건설은 문서 암호화 솔루션을 도입하고 클라우드 업무 환경을 조성해 비대면 업무를 지원했다. 웨이브는 서비스 고도화 및 해외진출 지역 확장을 위해 전사 IT 환경을 클라우드로 이전했으며, SK텔레콤은 볼류메트릭 기술을 기반으로 ‘점프 스튜디오’를 구축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