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정진석 "공수처장 여·야 원내대표 합의 있었다"…"與, 검찰 출신 반대해"

"검찰 무력화시키기 위해 공수처법 무리하게 추진"

"尹, 국민 등에 올라타..스스로 내리기 어려울 것"

김종인 사과에 "겸허하게 지켜보는 게 어떻겠나"

정진석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10월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의 외교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사진행발언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정진석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10월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의 외교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사진행발언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정진석 국민의힘 의원은 11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장 후보와 관련, “박병석 국회의장께 직접 들은 바로는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 간에 합의한 인사가 있었다”고 전했다.

정 의원은 이날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윤호중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이 ‘공수처장 후보 추천위에 참여한 야당 위원들이 좋은 사람을 추천해 보려고 노력하는 게 아니라 계속 무산시키는 쪽으로 이야기했다’고 주장한 것과 관련 진행자가 의견을 묻자 “박병석 국회의장께 직접 들은 바로는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 간에 합의한 인사가 있었다”며 “다른 사람을 찾을 수 있는 여지가 있었다는 것”이라고 이같이 답했다.


그는 “얼마든지 여야 간에 이 문제에 대해서 합의를 볼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이었다”면서 “그럼 시간을 가지고 계속 논의를 해 나가야 하는데 민주당은 첫째 검찰 출신은 절대 안 된다는 것”이라고 상황을 짚었다. 이어 “검찰 출신은 원천적인 배제를 하고 대화를 시작하는 것”이라며 “여야 원내대표가 합의를 봤는데 본인이 거절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또 “국회라는 곳이 이른바 대화와 타협의 무대인데 그 정도의 여유가 없는 걸 보고 이 사람들은 조급하고 서두르려고 한다고 생각했다”며 “권력 비리와 관련된 사건을 수사하고 칼끝이 청와대를 향해 들어오자 이것을 무마시키고 검찰을 무력화시키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공수처법을 무리하게 추진하는 것”이라고 규탄했다.

아울러 공수처법의 핵심이 야당의 비토권이라며 “공수처의 정치적 중립과 수사 독립성 확보를 위한 최소한의 장치인데 이걸 빼앗아 가버린 것 아닌가”라고 비꼬았다. 그러면서 “이게 독재가 아닌가. 이른바 다수결 독재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석열 검찰총장이 지난달 2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리는 국회 법사위 국정감사에 출석하기 위해 국회 본청으로 들어서 승강기를 타고 있다. /연합뉴스윤석열 검찰총장이 지난달 2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리는 국회 법사위 국정감사에 출석하기 위해 국회 본청으로 들어서 승강기를 타고 있다. /연합뉴스


정 의원은 또 윤석열 검찰총장 징계위원회와 관련, “추미애 장관이 고발한 사건을 추미애 장관의 입맛에 맞는 사람들이 재판관으로 참여한다? 이런 불공정의 극치가 어디 있느냐”며 “이건 북한 인민재판 아니면 조선 시대 사또 원님 재판이나 다름없는 것”이라고 비판의 수위를 바짝 끌어올렸다.


더불어 “정한종 외대 교수가 징계위원장 대리를 맡았는데 이 분은 윤 총장이 검찰청법의 정치적인 중립 규정 취지에 어긋난다고 주장했던 사람이고 안진 전남대 교수는 민주당 공천심사 위원 지낸 분”이라며 “윤 총장을 제거하려는 목적 뻔한 거 아니겠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윤석열은 국민이라는 호랑이 등에 올라탔다”며 “자기 혼자 스스로 내리기가 어렵다”고 언급했다. 이어 “검찰직 관두고 변호사 개업해서 돈 벌 사람은 아닌 것 같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그러나 제1야당인 국민의힘 대선 주자로 나서는 것에 대해서는 “원하지 않는다”고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그는 “결과적으로 정치를 한다면 범야권을 대표하는 후보 중의 한 명일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다만 주호영 원내대표가 “윤 총장이 정치하지 않겠다고 선언해야 한다”고 말한 것과 관련, “개인 선택에 달린 문제에 대해서 주호영 대표가 참견할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주호영 원내대표, 의원들이 지난 9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의원총회에서 더불어민주당의 공수처법 개정안 입법 강행을 규탄하는 피켓을 들고 있다. /권욱기자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주호영 원내대표, 의원들이 지난 9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의원총회에서 더불어민주당의 공수처법 개정안 입법 강행을 규탄하는 피켓을 들고 있다. /권욱기자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의 전직 대통령 대국민 사과 검토에는 “겸허하게 지켜보는 게 어떻겠나 한다”며 “박근혜, 이명박 대통령을 대신해서 김종인 위원장이 사과한다고 보지는 않고 어쨌든 우리가 부족해서 정권을 내줬고 그 이후에 다시 일어서기 위해서 몸부림을 쳐왔는데 여의치 못하다는 점, 부족함에 대한 어떤 사과가 아니겠느냐는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아울러 “지켜볼 참이고 사과 문안이 발표되면 그렇게 내홍이 확대, 재생산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본다”고 전망했다.

강지수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