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확산된 재택근무가 오히려 근무시간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은이 발표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재택근무 확산’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유연 근무자 가운데 재택근무 참여율은 17.4%로 지난해 4.3% 대비 큰 폭 증가했다. 코로나19 이전부터 재택근무 등 유연 근무 형태가 늘어나는 추세였지만 이번 사태를 계기로 가속화됐다는 분석이다. 정부가 보건 시스템 붕괴를 막기 위해 이동 제한 조치를 강화한데다 개인은 건강을 이유로, 기업은 복원력과 유연성을 고려해 재택근무를 선택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은은 코로나19 위기가 진정되더라도 재택근무가 지속적으로 확산될 것으로 예상했다. 직원들이 강제적으로 재택근무를 하면서 경영진과 직원들의 재택근무 인식이 크게 개선됐고 이번 위기 상황에서 재택근무의 효율화를 위해 각종 기술 이용 방법을 습득하고 자원을 투자했기 때문이다. 또 대다수 기업들이 기대보다 재택근무가 잘 작동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다만 재택근무가 생산성을 높일 수도 있고 낮출 수도 있는 만큼 생산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코로나19로 사전준비 없이 강제적으로 재택근무하는 경우에는 생산성 손실이 불가피하지만 업무와 개인 특성에 맞게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개인의 삶의 질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버드 경영대학원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 이후 근무시간이 48분 증가했다. 주거지와 근무지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오히려 실제 노동시간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육아 등 가사 부담도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통근 시간이 줄어들고 일과 가정의 균형을 맞추려는 직원은 하나를 포기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재택근무가 확산되면 임대료가 비싼 대도시 지역에서 상업 건물 수요가 낮아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하지만 집적경제 효과와 직원의 소속감 유지 등을 위해 도심에 상업용 건물을 유지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 임대료 절감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직원들도 회사 위치보다 편의 시설, 자녀 교육 등을 이유로 대도시에 거주하는 만큼 교외 이주 수요도 제한적이다. 다만 직원 이동 감소로 석유·전기 수요가 줄면서 환경오염 개선에는 도움이 됐다.
한은은 코로나19가 산업혁명 이후 유지됐던 근무 형태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앞으로 어떻게 일하고 직장을 운영할지에 대해 근본적으로 생각하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앞으로 기업들은 재택근무를 활용하는 업무 범위를 점차 넓혀가면서 사무실 근무시간보다는 성과를 중시하는 문화가 점차 자리를 잡아갈 것”이라며 “재택근무가 늘어나는 현상이 모든 기업의 모든 직원에게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