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전세난에 영끌”…5,000건 육박한 11월 서울 아파트 거래

서울 서초구 일대 아파트 단지/서울경제DB서울 서초구 일대 아파트 단지/서울경제DB



전세난이 심화하면서 서울 외곽이나 수도권의 중저가 아파트 구매에 나서는 수요가 늘고 있다. 세입자들이 전세난을 피해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에 나선 것이다. 새 임대차법 시행으로 전세 계약을 2년 더 연장하는 세입자들이 늘면서 전세 품귀가 심해졌고 전셋값마저 급등하고 있기 때문이다.

14일 서울부동산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아파트 거래는 4,452건으로, 이미 10월 거래량(4,369건)을 뛰어넘었다. 아직 신고기한(30일)이 절반가량 남아있는 것을 고려하면 11월 거래량은 더 늘어나 5,000건을 넘길 가능성이 크다.

서울의 아파트 거래는 3~5월 3,000~5,600건 수준에서 6월 1만5,585건, 7월 1만643건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한 뒤 정부가 6·17대책과 7·13대책으로 수요를 묶고 8·4대책으로 공급 신호를 보내자 8월 4,979건, 9월 3,763건으로 급감했다. 이후 10월 거래량은 4,369건으로 반등했고, 지난달도 전달 거래량을 넘어서서 2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 다시 늘어난 이유로 전문가들은 새 임대차법의 영향을 꼽고 있다. 전세 품귀가 심화하고 전셋값이 급등하면서 전세 수요가 매매로 전환됐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지역별로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서울 외곽에 거래가 몰렸다. 지난달 구로구의 아파트 거래가 366건으로 전달(234건)보다 56.4% 증가해 서울에서 거래량이 가장 많이 늘었다. 이어 강남구 35.8%(215건→292건), 금천구 30.9%(68건→89건), 성북구 17.3%(162건→190건), 도봉구 10.9%(201건→223건) 등의 순으로, 거래량 상승률 상위 5개 구 가운데 강남구를 제외한 4곳이 모두 상대적으로 저렴한 외곽 지역이었다.

경기도의 11월 아파트 거래량도 이미 10월 수준을 넘어섰다. 경기부동산포털에 따르면 경기도 아파트 거래는 두 달 연속 증가해 지난달 1만8,013건으로 10월(1만7,700건)보다 1.8% 늘었다. 지역별로 보면 고양시의 아파트 거래가 지난달 2,479건으로 10월(1,395건)보다 77.7% 늘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고양시 거래량은 10월에는 풍선효과로 거래가 폭증했던 김포시(2,394건)에 이어 경기도 2위(1,395건)에 올랐으나 지난달 김포가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되는 등 영향으로 11월에는 김포(1,032건) 등을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지난달에도 규제지역 지정을 피한 파주시의 아파트 거래가 11월 1,376건으로 전월 대비 32.8%(340건) 증가했고, 의왕시 29.2%(137건→177건), 안양시 24.3%(563건→700건), 동두천시 21.2%(151건→183건) 등의 순이었다.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