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기업 실적부진·신용 위험이 최대의 금융 리스크"

韓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설문

1515A04 금융시스템 리스크 주요 요인



국내외 금융 전문가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든 끝나든 기업 부문의 실적 부진과 신용 위험이 향후 금융 안정 리스크에 가장 큰 위협이 될 것으로 우려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충격을 받은 금융기관의 건전성 저하와 재정 건전성 악화 가능성도 금융 안정에서 유의해야 할 부분으로 꼽혔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10∼25일 국내외 금융기관·연구소 담당자 82명에게 국내 금융 시스템의 주요 위험 요인과 발생 가능성 등을 조사해 14일 발표했다. 이들 전문가가 1순위로 꼽은 주요 위험 요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단연 ‘코로나19 세계적 대유행의 장기화 가능성(49%)’이었다. 이어 ‘대선 이후 미국 정부 정책 방향의 불확실성(11%)’ ‘자영업자 업황 부진(7%)’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 증대(5%)’ 등의 순이었다.


특히 코로나19 백신이 출시돼 중·장기적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도래하면 가장 유의해야 할 리스크 요인으로 응답자의 52%가 ‘기업 부문(중소기업·자영업자 포함) 실적 부진과 신용 위험’이라고 지적했다. 금융기관 건전성 저하(35%)와 재정 건전성 악화(24%), 경기침체(22%) 등도 응답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관련기사



코로나19로 금융회사는 건전성 하락과 비대면 중심으로 영업 환경의 변화가 주요한 경영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일부 전문가는 금융 당국의 각종 지원책으로 금융회사의 잠재적 부실이 과소평가됐을 수 있다고 경고했으며 비대면 영업 환경 구축에 따른 정보기술(IT) 및 시스템 안정성 제고 부담도 커지게 됐다고 지적했다.

또 이번 조사에서 금융 안정 시스템의 위험 요인으로 전문가들이 새롭게 많이 언급한 것은 ‘고용 악화 등에 따른 가계소득 감소’와 ‘국제 자산 가격 상승 및 급격한 조정’이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한은 관계자는 “코로나19 대유행의 장기화 가능성과 국제 자산 가격 상승 및 급격한 조정은 금융 시스템에 미칠 영향력이 비교적 큰 리스크로 꼽혔다”고 전했다. /손철기자 runiron@sedailycom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