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집단면역 추구하던 스웨덴 결국…국왕 "우리가 실패했다"

"많은 사람이 죽어…끔찍한 일"

이웃 국가보다 10배 이상 피해

칼 구스타브 16세 스웨덴 국왕./AP연합뉴스칼 구스타브 16세 스웨덴 국왕./AP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면역을 추구했던 스웨덴이 결국 방역 실패를 시인했다.

17일(현지시간) 영국 BBC방송은 칼 구스타브 16세 스웨덴 국왕은 21일 방영될 연례 성탄절 TV 프로그램 인터뷰에서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해 “우리가 실패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평소 정치와 관련된 언급을 자제하는 구스타브 국왕은 “많은 사람이 죽었고, 이건 끔찍한 일이다”라며 코로나19 국면에서 정부가 미온적으로 대응했다고 비판했다.


또한 “스웨덴 국민이 어려운 여건에서 막대한 고통을 겪었다”며 “가족과 이별하며 마지막 따뜻한 인사를 건네지 못한다면 무척 힘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왕도 최근 아들인 칼 필립 왕자 부부가 양성 판정을 받고 자가격리하는 일을 겪었다. 74세인 국왕은 코로나19 감염이 걱정되느냐는 질문에 “바이러스가 점점 더 가까이 다가오고 있다. 그건 아무도 원치 않는 일이다”라고 답했다.

관련기사



스웨덴의 코로나19 확산 상황은 악화하고 있다. 스웨덴에서 이달에만 1,000명이 넘는 사람이 코로나19로 죽었다. 최근에는 하루 사망자 수가 70명 이상으로 치솟으며 정점을 기록했던 4월 중순의 기록에 점차 가까워지고 있다. 국제 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18일(한국시간) 기준 스웨덴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와 사망자 수는 각각 35만 7,466명과 7,893명으로 집계됐다. 이웃 국가 노르웨이와 핀란드보다 10배 가까이 많은 수준이다.

언론과 야당에서는 정부의 미온적인 코로나19 대응 정책에 비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전략을 독립적으로 조사한 코로나바이러스 위원회는 15일 정부와 보건당국이 코로나19로 요양원이 초토화되는 것을 막지 못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스웨덴은 다른 유럽 국가와 달리 학교와 레스토랑, 운동 시설 개방을 허용하고 시민들의 자율적인 방역 조처를 강조했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 상황이 심각해지자 지난달 모임 인원을 8명 이하로 제한하고 고등학생들은 원격 수업으로 전환하는 등 규제를 강화했다.

곽윤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