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기업

애플, 자율주행 승용차 생산 나서나…2024년 목표

/로이터연합뉴스/로이터연합뉴스



애플이 자율주행차 기술을 발전시켜 2024년을 목표로 자체 배터리 기술을 탑재할 수 있는 자율주행차 생산에 나설 전망이라고 2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이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는 지난 2014년부터 시작된 ‘프로젝트 타이탄’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애플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자사 자동차 설계에 나섰으나 프로젝트는 제대로 진행되지 못했고 애플은 목표를 재검토했다. 로이터는 테슬라에서 근무했던 더그 필드가 지난 2018년 프로젝트 감독을 위해 복귀했으며, 지난해 이 프로젝트 팀에서 190명을 해고했다고 설명했다. 소식통은 애플이 소비자를 위한 자동차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울 정도로 충분히 발전했다고 말했다.


애플의 배터리 디자인을 확인한 또 다른 관계자는 애플의 주전략은 배터리 비용을 철저하게 줄이고 차량의 주행거리를 늘리는 것이라고 전했다. 애플은 배터리 내 셀은 더 키우고 파우치와 모듈을 없애 배터리 팩 내부의 공간을 확보하는 독특한 ‘모노셀’ 디자인을 사용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는 이 같은 디자인을 통해 주행거리가 더 길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과열될 가능성이 낮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로 만드는 방안을 연구 중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관련기사



애플은 차량에 탑재될 라이다(LiDAR·빛으로 주변 물체와 거리를 감지하는 기술) 센서 등 일부 부품은 외부에서 조달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로선 애플이 차량 조립을 위해 제조사와 협력할 것으로 예측되며, 애플이 기존 차량 제조사의 자동차에 탑재할 수 있는 자율주행시스템만 개발할 가능성도 있다고 관계자들은 전했다. 한 해에 전자제품 수억 개를 생산하는 애플이지만 대표적인 종합산업인 차량 제조는 복잡한 공급사슬을 고려할 때 애플에도 쉽지 않은 과제가 될 전망이다.

로이터는 차량 사업에서 이익을 내려면 연간 10만대 이상을 생산할 역량을 갖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테슬라는 차량 제조로 안정적인 수익을 내기까지 17년이 걸린 만큼 애플의 도전도 순탄하지만은 않을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