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 여부 이번주 일요일 논의(종합)

환자 급격하게 증가하지도 반전되지도 않는 상황

감염 통제 역량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연합뉴스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연합뉴스



정부가 오는 27일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 여부를 논의한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25일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수도권 2.5단계, 전국 2단계 조처가 다음 주 월요일(28일)에 종료되기 때문에 3단계에 대한 부분은 이번 주 일요일(27일)쯤 논의해 그 결과를 별도로 안내할 것”이라고 밝혔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3단계 격상 기준에 대해 “가장 중요한 것은 유행의 확산 추세인데 현재 환자가 급격하게 증가하지 않고, 반전되지도 않는 양상”이라며 “이에 연말연시 특별방역대책 기간이 굉장히 중요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환자발생 양상을 방역적·의료적 역량이 따라갈 수 있느냐’ 하는 문제도 중요하다”면서 “현재 방역 통제망 안에서 감염을 통제하는 역량은 유지되고 있고 의료적 역량에 있어서도 병상 여력을 확보하고 치료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도록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 첫 1,200명대 확진에 정부 “일시적 현상 가능성”

정부는 이날 확진자 수가 1,200명대까지 급증한 것과 관련해선 서울 동부구치소 집단감염에 따른 ‘일시적 현상’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윤 반장은 “서울 동부구치소의 2차 전수검사 결과 확진자 288명이 새로 나타났다는 부분이 가장 큰 요인”이라며 “나머지 지역감염 사례는 최근의 추세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900∼1,000명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특수한 상황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서울 동부구치소는 이미 방역망 내에서 관리가 되는 사안이기 때문에 지역사회로 추가로 전파되는 부분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해선 첫 확진자가 동부구치소 근무자의 가족으로 알려지면서 사실상 기존의 요양원·요양시설 집단발병 사례처럼 지역감염이 교정시설 내로 전파된 것인데다 시설 내 감염자 접촉을 통한 외부로의 ‘n차 전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완전히 특수한 상황으로만 규정짓기 힘든 측면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관련기사



윤 반장은 향후의 추세에 대해선 “국민들께서 연말연시 특별방역기간에 모임과 이동을 삼가해 주고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 준다면 내년 초부터는 반전세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했다.

정부는 전 국민 대상으로 코로나19 전수 검사가 필요하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윤 반장은 “신속항원검사의 한계가 분명히 있고 PCR(유전자증폭) 검사는 하루 13만건 정도 가능한 데 이보다 많으면 여러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면서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PCR 검사를 하기는 어려운 그런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 수도권 병상 대기자 179명…전국 중환자 병상 101개 남아

한편 정부는 신규 확진자가 급증함에 따라 병상 확보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중대본에 따르면 국내 중환자 병상은 전날 기준으로 101개를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다. 이 가운데 수도권의 가용 병상은 40개다.

감염병 전담병상 병상은 1,505개가 비어있고, 생활치료센터에는 6,344명이 더 입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뒤 1일 이상 병상 배정을 기다리는 수도권의 환자는 이날 0시 기준 179명으로 줄었다. 앞서 지난 17일에는 병상 대기자 수가 595명까지 올라갔었다.

정부는 이와 함께 고령의 와상, 치매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수도권에 감염병 전담요양병원 3곳을 더 지정하고 정신질환자의 치료를 위해 국립정신건강센터 외에 거점 정신병원도 추가로 지정하기로 했다.


이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