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김진균 수협은행장 “디지털은 생존 문제...전사적 차원 대응”

■2021년 신년사

김진균 수협은행장. /사진 제공=수협은행김진균 수협은행장. /사진 제공=수협은행



김진균 Sh수협은행장이 2021년 신년사를 통해 조직 효율성 및 생산성 증대, 수익성 중심 영업 확대, 선제적 리스크 관리, 디지털 금융 확대와 경쟁력 강화 등을 중점 추진과제로 제시했다.

김 행장은 31일 “2021년 경영환경은 2020년 못지않게 녹록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코로나 발 국내외 경기침체와 세계 각국의 저금리 기조 지속, 자산건전성 하락 등이 우리를 압박해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가속화된 언택트 시대로의 전환은 디지털 금융분야에 있어 우리에게 더 큰 변화와 혁신을 요구할 것”이라며 “어느 때보다 굳게 각오를 다지고 내부로부터의 변화를 통해 난관을 헤쳐나가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 행장은 난관 돌파를 위해 일단 지속적인 조직 효율성 증대를 주문했다. 김 행장은 “조직개편을 통해 본부 조직을 슬림화하고 조정된 본부인력을 영업분야에 배치해 현장 영업력을 강화했다”며 “앞으로도 조직 효율성과 생산성 증대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예고했다. 김 행장은 수익성 중심 영업으로의 변화도 주문했다. 그는 “사업물량 만을 확대해 목표를 채우는 영업 관행은 과감히 버리고 수익성 중심 영업으로 전환하도록 하자”며 “저비용성 예수금은 지속적으로 증대하고, 대출 마케팅 시에도 우리만의 안목으로 수익성이 양호하고 건전한 여신들을 선별해 취급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관련기사



선제적 리스크 관리도 주문했다. 김 행장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은행산업 전반의 건전성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며 “지속되는 경기침체로 많은 산업부문이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는 곧 은행의 부담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가 그 어느 때보다도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 행장은 디지털금융 확대와 임직원 자기계발도 당부했다. 그는 “디지털 전환은 생존의 문제”라며 “디지털화와 관련해서 본부와 영업점 구분 없이 전사적 차원에서 모두 함께 대응해 나가도록 하자”고 역설했다.

김 행장은 “여명(黎明)의 두려움을 극복하고 떠오르는 태양을 맞이하듯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자”며 “신축년 한해는 임직원과 은행이 함께 성장하는 기반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