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확률아이템 정보공개"…'MZ' 품는 尹

"게이머 불공정 해소" 공약 발표

게임특위 설치에 롤 직관까지

軍월급 이어 '이대남'에 총력전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게임 산업의 불합리한 규제 정비 및 사용자 권익 보호 공약 발표를 하고 있다./권욱 기자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게임 산업의 불합리한 규제 정비 및 사용자 권익 보호 공약 발표를 하고 있다./권욱 기자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2일 “게임 업계의 불공정 해소를 위해 확률형 아이템 정보를 완전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여성가족부 폐지, 군인 월급 200만 원 등의 공약에 이어 ‘이대남(20대 남자)’이 주로 즐기는 게임 분야에도 손을 뻗으며 젊은 층 표심 잡기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윤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게임 공약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게임 불공정의 첫 번째 과제는 확률형 아이템의 불공정 해소”라며 “일정 규모 이상의 게임사에 ‘이용자권익보호위원회’를 설치해 게임 업계의 투명성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확률형 아이템이란 게임 내에서 특정 확률에 따라 보상이 달라지는 시스템이다. 게임사가 임의로 정해놓은 확률에 따라 유료로 판매하는 아이템의 보상이 천차만별이어서 사행성이 짙다는 비판도 받는다. 지난해 넥슨 등 일부 게임사에서 확률 조작 사태까지 터지면서 젊은 남성들 사이에서 “아이템의 확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라”는 요구가 거세졌다.

관련기사



원희룡 선거대책본부 정책본부장은 “우리나라 게임사들이 손쉬운 확률형 아이템의 수익에 의존하고 있다”며 “유저들의 사행심을 조장하는 방식보다는 콘텐츠의 본질에 충실하는 쪽으로 내몰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 밖에 △게임 소액 사기 전담 수사 기구 설치 △e스포츠 지역 연고제 도입 △장애인 게임 접근성 불편 해소 등의 공약도 제시했다.

윤 후보는 “e스포츠는 질병이 아니라 말 그대로 스포츠” “게임 정책의 핵심은 게이머가 우선” 등의 게임 친화적인 발언을 쏟아냈다. 앞서 지난 1일 한 게임 전문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게임 업계의 이익을 옹호하거나 ‘게임 중독은 질병’이라는 취지의 답변을 해 논란이 일었던 것과 180도 달라진 모습이다.

젊은 층을 포섭하기 위한 조직도 신설됐다. 국민의힘은 이날 정책본부 산하에 게임특별위원회를 설치했다. 위원장에 임명된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이름은 게임특위이지만 내용은 2030의 주요 현안과 정책을 다루는 기구”라며 “청년 어젠다를 앞장서 이끌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윤 후보는 e스포츠 리그인 ‘리그오브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 개막전 관람 일정에 대해서도 선대본 청년보좌역들의 조언을 들은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혹시나 2030세대에게 반감을 살 수 있는 행동들을 미리 예방하자는 차원”이라며 “‘괜히 아는 척하지 말고 진정성 있는 관심을 보이라’ 등의 내용을 보고서에 담았다”고 말했다.


김남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