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인텔 합병 효과 톡톡…올해 낸드 출하량 2배로 늘린다

■SK하이닉스, 작년 매출 43조 '사상 최대'

영업익 12.4조●전년比 147%↑

"공급망 이슈 해소·NFT등 기대"

고정 배당금 1200원으로 인상

상황 따라 자사주 매입도 검토

용인공장 착공지연 땐 플랜B 준비





SK하이닉스가 지난해 반도체 시장 호황에 힘입어 43조 원에 육박하는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한 데 이어 올해도 최대 실적 경신을 예고했다. 공급망 불안 이슈 해소와 대체불가토큰(NFT), 메타버스 확산 등으로 메모리 반도체 수요 강세가 예상되는 만큼 SK하이닉스는 적극적으로 시장에 대응하고 인텔 낸드 분야 합병 시너지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34.8% 증가한 42조 9978억 원을 기록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지난 2018년 40조 4451억 원으로 연간 최고액을 기록한 지 3년 만이다. 영업이익은 12조 4103억 원으로 무려 147.6% 증가했다. 데이터센터 증설로 서버를 비롯해 PC와 모바일 등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급증한 덕이다. 업계 최초로 개발한 DDR5, HBM3 등 차세대 고부가가치 제품에서 최고 수준의 품질 경쟁력을 확보한 것도 한몫했다. 낸드 사업은 시장 평균을 크게 뛰어넘는 판매량 증가율을 기록해 연간 기준 흑자 달성에 성공했다.

관련기사



올해는 글로벌 정보기술(IT) 수요 회복에 하반기부터 공급망 불안 이슈도 해소가 예상되는 만큼 지난해를 크게 웃도는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 SK하이닉스는 D램과 낸드플래시 수요가 각각 10% 후반, 30% 늘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대응해 극자외선(EUV) 장비를 적용한 초미세 공정 비중을 늘리고 인텔 낸드 사업과 시너지도 극대화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는 올해 낸드플래시 출하량 증가율이 시장 수요를 웃돌고 특히 솔리다임(옛 인텔 낸드플래시 사업부) 물량까지 포함할 경우 출하량이 전년 대비 2배 수준으로 늘어날 것으로 봤다. 노종원 SK하이닉스 사장은 “과거 메모리 업체 간 합병은 1 더하기 1이 2가 안 되는 어려움이 있었지만 (인텔 낸드 부문과) 생산품이 겹치지 않아 단순 합산 수준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달성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는 배당 규모를 늘리고 분기마다 지급하는 주주 환원 정책도 발표했다. 고정 배당금을 200원 올려 1200원으로 책정하고 잉여 현금 흐름의 5%를 추가로 배당하기로 했다. 상황에 따라 자사주 매입도 검토한다.

SK하이닉스는 또 경기도 용인 반도체 신규 공장 건설이 계속 지연될 경우 다른 공간을 찾겠다고 밝혔다. 노 사장은 “현재 계획으로는 가능한 이른 시점에 용인 부지를 확보해서 새 팹(공장)을 지어야 하는 상황이며 오는 2026년 초까지 새 팹 가동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천 M16 공장이 램프업(생산량 확대)돼 추가 공간이 필요하다”며 “상당한 차질이 있다고 생각하면 다른 스페이스(공간) 확보 방안을 고민할 것이고 실제로 고민 중”이라고 덧붙였다. 노 사장이 언급한 ‘다른 공간 확보 방안’은 용인 이외의 별도 부지를 검토한다는 뜻이 아니라 기존 팹의 효율화와 확장을 통한 공간 확보를 의미한다고 부연했다. SK하이닉스는 2019년 2월 총 120조 원을 투자해 반도체 공장 4곳을 용인에 짓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주민 설득과 인허가가 지연돼 당초 계획보다 착공이 1년 이상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K하이닉스는 올해 1분기 중 시행하는 대졸 신입과 경력 사원 공채도 실적과 생산 능력 증가에 발맞춰 예년보다 규모를 확대하기로 했다.


임진혁 기자·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