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대우조선 매각 추진, 자립적 생존 기반 마련이 우선이다


만년 적자 기업으로 생존의 기로에 놓였던 대우조선해양을 한화그룹이 인수한다. 대우조선해양 대주주인 산업은행은 26일 대우조선과 한화그룹이 2조 원의 유상증자 방안을 포함한 조건부 투자합의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한화그룹은 최근 방산 분야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대우조선의 잠수함 등 특수선(군용 사업) 부문과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한화는 2008년에도 대우조선을 인수하려 했으나 글로벌 금융 위기에 따른 자금난 등으로 무산됐었다.



2000년부터 채권단 관리 체제로 운영된 대우조선에는 그동안 공적 자금 7조 1000억 원에 자본 확충(출자 전환, 유상증자)에 따른 지원 4조 7000억 원 등 총 11조 8000억 원이 투입됐다. ‘세금 먹는 공룡’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선박 수주 호조에도 불구하고 올 상반기에도 5696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고 6월 말 기준 부채비율은 676%에 이른다. 올 6~7월 대우조선은 하청 노조의 불법 점거 파업으로 더 큰 위기에 빠졌다. 51일간의 파업 등으로 8000억 원 넘는 손실을 본 것으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인수 금액과 관련해 일부에서는 헐값 매각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그동안 투입된 공적 자금 규모가 12조 원에 육박하고 한화그룹이 2008년 대우조선 인수를 시도할 당시 제시한 금액도 6조 3000억 원을 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산업은행은 더 이상의 공적 자금 투입을 피하기 위해 매각을 추진한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대우조선의 자립적 생존 기반 마련이 시급한 시점이다. 6월 말 기준 대우조선의 총차입금이 3조 564억 원, 1년 안에 만기가 도래하는 단기 차입금은 2조 8858억 원에 이른다. 추가 자금 지원 없이는 생존이 어려운 구조다. 만년 적자와 공적 자금 지원의 늪에서 벗어나려면 뼈를 깎는 구조 조정을 해야 한다. 또 노조의 불법행위를 뿌리 뽑아 노사 관계를 안정시키는 한편 초격차 기술 확보도 서둘러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