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한국-브라질 경기가 마지막"…4000억짜리 경기장 철거 왜?

지난 6일 오전(한국시간) 2022 카타르 월드컵 16강전 대한민국 대 브라질 경기가 열렸던 974 스타디움. 연합뉴스지난 6일 오전(한국시간) 2022 카타르 월드컵 16강전 대한민국 대 브라질 경기가 열렸던 974 스타디움. 연합뉴스




한국 축구대표팀과 브라질의 2022 카타르 월드컵 16강전이 펼쳐졌던 카타르 도하 974 스타디움이 철거에 들어갔다.



7일(한국시간) 포르투갈 매체 레코드 등 외신은 “카타르 당국이 한국-브라질전 다음날인 7일 오전 974 스타디움의 방수포를 제거하고 주변 지역을 청소하는 등 철거 작업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레코드는 “한국-브라질전은 974 스타디움에서 열린 마지막 경기였으며, 974 스타디움은 이번 대회를 마치고 철거·개축되는 3개 경기장 중 가장 먼저 해체 작업이 시작됐다”고 전했다.

건축가 펜윅 아리바렌이 디자인한 974 스타디움은 월드컵 역사상 최초의 임시 경기장이자 카타르 월드컵만을 위해 만들어진 친환경 경기장이다. 건설에 들어간 비용은 약 3억 유로(4158억 원)로 수용인원은 4만 4089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카타르는 자국의 국제전화 국가번호인 974에 착안해 재활용이 가능한 건설자재와 974개의 선적 컨테이너를 쌓는 방식으로 완전 해체가 가능하게끔 모듈식 디자인을 활용해 경기장을 만들었다. 경기장 바닥이 모두 컨테이너 철제로 이루어져 있다 보니 관중들이 발을 구르며 응원하는 것 역시 가능했다.

관련기사



브라질과 스위스의 조별리그 경기 당시 974 스타디움. 연합뉴스브라질과 스위스의 조별리그 경기 당시 974 스타디움. 연합뉴스


또 974 스타디움은 인접한 바다에서 불어오는 습도 높은 해풍이 쾌적한 에어컨 바람을 대신해 대회가 열리는 8개 구장 중 유일하게 에어컨 시설이 없다. 그럼에도 낮에는 내부 온도가 높아 이 경기장에 배정된 경기는 모두 뜨거운 태양이 있는 낮을 피해 야간에만 열렸다. 한국과 브라질의 16강전 역시 이러한 이유로 현지시간으로 5일 오후 10시에 열린 바 있다.

이 경기장에서는 월드컵 개막을 앞두고 지난해 테스트 이벤트 격인 국제축구연맹(FIFA) 아랍컵 6경기가 개최됐고, 카타르 월드컵에서는 조별리그 6경기와 한국-브라질의 16강전 등 7경기가 치러졌다.

당초 974 스타디움은 2023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대회에 재활용될지 모른다는 전망이 나왔지만, 당국은 예정대로 철거를 시작하는 분위기다. 경기장에 활용된 974개의 대형 컨테이너는 대부분 기증될 예정이다.

외신들은 “아프리카 저개발국이 기증처로 유력하지만, 2030 월드컵 공동 개최를 추진하는 우루과이가 적극적으로 컨테이너 인수전에 뛰어들었다”고 언급했다.

우루과이 매체 엘파이스는 최근 “우루과이는 974 스타디움 건설 자재와 컨테이너로 2030 월드컵 경기장을 지을 계획도 있다”고 보도했다.

강사라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