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 신설법인 감소세 뚜렷…"경기침체·단기자금시장 경색이 악영향"

10월 372개체, 4월 622개체 대비 절반 가량 줄어

부동산업·제조업 큰 폭 감소…대부분 업종에서도 감소세 뚜렷


부산지역 10월 중 신설법인이 올해 최고치를 기록한 4월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기침체에 대한 경계심이 확대됐고 레고랜드 사태에 따른 단기자금시장 경색으로 부동산업과 제조업 신설법인이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7일 부산상공회의소가 발표한 10월 중 부산지역 신설법인 동향 조사에 따르면 신설법인은 372개체로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던 4월 622개체에 비해 40.2%나 급감했다. 추세적으로도 4월 이후 6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오고 있으며 10월까지 누계치도 5019개체로 전년동기 5666개체에 비해 11.4% 줄었다.

부산지역신설법인의 급격한 위축 배경은 고물가, 고환율, 고금리 등 3고 현상 장기화로 경기침체에 대한 경계심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부산상의는 분석했다. 한때 원달러 환율이 1440원을 돌파하며 연중 최고점을 경신했고 이로 인해 국제유가 등 수입물가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무엇보다도 지난 7월과 10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빅스텝으로 인해 기업의 자금조달 여건이 크게 악화된 점은 지역의 법인 신설을 위축시킨 결정적 요인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최근 1년간 부산지역 신설법인 추이./사진제공=부산상공회의소최근 1년간 부산지역 신설법인 추이./사진제공=부산상공회의소




주요 업종별로는 유통업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7.5% 감소한 것을 제외하면 부동산업, 제조업, 건설업 등은 모두 20% 이상 큰 폭으로 감소했다.

특히 최근 강원도의 레고랜드 사업에 대한 채무불이행 선언으로 단기자금시장이 급격히 경색되면서 부동산업과 제조업 법인 신설이 눈에 띄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부동산 관련 신설법인은 지난 10월 66개체로 전년 동월의 151개체와 비교해 무려 56.3%(85개체)나 줄었고 제조업 역시 지난 10월 38개체 설립돼 전년 동월 82개체와 비교하면 53.7%(44개체)나 감소했다.

부산상의 기업동향분석센터 관계자는 “미연준의 기준금리 인상폭과 주요 산유국 모임인 OPEC+(오펙플러스)의 감산 기조 유지 등 향후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확대됨에 따라 창업환경도 혹한기를 맞고 있는 만큼, 정책자금 대출한도 확대나 상환유예, 고금리 대환 등 직접적인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