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SEN투자전략]美 증시, 기대 인플레 둔화에 ‘환호’…“외국인 수급 개선 전망”


[서울경제TV=최민정기자] 뉴욕증시는 11월 CPI(소비자물가지수)와 12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 결과를 앞둔 경계심리 속, 뉴욕 연은(연방준비은행)의 기대인플레이션 하락 조정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다. 이는 국내증시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12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28.58포인트(1.58%) 오른 3만4,005.04에 마감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55.32포인트(1.41%) 상승한 3,989.70를 기록했다. 나스닥 지수도 139.12포인트(1.26%) 오르며 1만1,143.74에 거래를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오는 13일 예정된 미국의 11월 CPI(소비자물가지수)와 연방준비제도의 12월 FOMC 정례회의 결과(13~14일 발표)를 기다리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로 볼 때 11월 CPI는 7.3%로 상승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투자자들은 12월 FOMC에서 연준의 50bp 인상에 무게를 두고 있다.

대형이벤트를 앞둔 경계감 속,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이 발표한 기대 인플레이션 하향 조정이 시장에 호재로 작용했다.


이날 뉴욕 연은이 발표한 11월 소비자 전망 조사에 따르면 1년 후 기대 인플레이션은 5.2%로 전월보다(10월 5.9%)보다 0.7%p 하락했다.

관련기사



향후 3년 뒤 기대인플레이션은 3%, 5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2.3% 각각 전달보다 0.1%p 떨어졌다.

이는 미국 소비자들이 인플레이션에 대해 점점 더 낙관적으로 변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증권업계는 미국 연은의 1년 기대 인플레이션 하향 조정 소식과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2% 넘게 상승한 점은 국내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미국 증시가 부정적인 소식이 전해진 일부 종목을 제외하고 대부분 강세를 보인 점은 국내 증시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며 “국내증시는 상승 출발 후 외국인 수급 개선에 힘입어 강세를 보일 전망”이라고 평가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금일에는 기술적 매수세 유입 속 뉴욕 연은 기대인플레이션 지표 하락에 따른 미국 증시 강세 소식 등에 힘입어 반등에 나설 전망”이라며 “다만 미 CPI 이벤트 임박에 따른 경계심리가 거래 부진을 유발하면서, 지수 전반적인 반등 탄력을 제한하면서 개별 종목 장세가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분석했다./choimj@seadaily.com


최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