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주력산업이 밀고 첨단산업이 끈다

◆민선 8기 지자체 일자리 전략

기초단체와 협력체계 강화한 전남

전북은 4년간 62만개 창출 목표

울산, 수소·2차전지 인프라 구축

김영록(앞줄 왼쪽 세 번째) 전남도지사와 우수 일자리 유공자들이 13일 전남도청에서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협약식을 체결하고 있다. 사진 제공=전라남도김영록(앞줄 왼쪽 세 번째) 전남도지사와 우수 일자리 유공자들이 13일 전남도청에서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협약식을 체결하고 있다. 사진 제공=전라남도




민선 8기 출범 6개월 맞아 주요 지자체들이 잇따라 일차리 창출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하고 나섰다. 미래 첨단산업을 주축으로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일자리 육성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인구 유입을 이끌어내겠다는 전략이다.







24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전남도는 최근 ‘2022 전라남도 일자리·경제·투자유치 한마당’ 행사를 열고 ‘행복한 으뜸 일자리’ 40만 개 창출을 위한 민선 8기 일자리 전략을 발표했다. 미래 산업 전환에 대응하는 첨단 전략산업 중심의 일자리를 창출해 전남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전남도는 지역 위기에 대응하는 전남형 일자리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도민 행복 일자리도 대폭 확충하겠다는 계획이다. 전남형 일자리 전략은 4대 전략 10대 과제로 구성되며 중앙정부와 전남도, 전남도 산하 22개 지자체와 유기적으로 협력해 차질없이 목표를 달성해나갈 방침이다.

전북도는 4년간 5조 424억 원을 투입해 일자리 62만여개를 창출하겠다는 목표로 세웠다. 전북도가 세운 종합 계획에는 중앙부처 산업 육성과 지역 고용 활성화 계획을 반영한 기본 방향과 추진 체계가 담겨 있다. 5대 추진 전략으로는 고용 거버넌스 초점화, 농생명 고도화, 신성장산업 도약화, 문화관광산업 혁신화, 일자리 매칭 신뢰화를 내걸었다.

전북도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본방향을 기업 유치와 민간 투자 촉진을 통한 고용 유발 효과 제고 및 미래 산업 육성을 통한 성장동력 확보로 정했다. 또 세대 융합을 통한 젊은 농생명 일자리 안착, 도민 역량 맞춤형 일자리 매칭과 고용 안전망 확대, 고용 인프라 기반 고용 서비스 사각지대 해소 등도 주요 과제에 포함했다.

대전시는 민선 8기에 최소 6조 원 이상을 투입해 일자리 30만개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일자리 정책의 비전으로 ‘기업·사람·일자리가 모이는 일류 경제도시 대전’으로 정하고 고용률 70%를 달성하기 위한 5대 핵심 전략을 수립했다.

5대 핵심 전략은 민간 주도 일자리 창출, 미래 핵심 전략산업 육성 및 인재 육성으로 혁신 일자리 창출, 대상별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역 자원 활용 일자리 창출, 노동 시장 주체의 상생 협력 등이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2026년까지 모두 6조 9269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울산시는 민선 8기 5대 목표 중 첫 번째를 ‘일자리 넘치는 산업도시’로 정하고 101개 과제 중 37개를 일자리 관련 사업으로 구성했다. 주요 사업으로는 수소도시 건설, 미래형 2차전지 인프라 구축, 유전체·생명·인공지능 산업 육성, 조선해양·화학산업 첨단화, 기술 강소기업·외국인 기업 투자 유치 등이다. 과거 조선과 자동차, 화학이 주력이었던 산업 생태계에 미래 산업을 더하는 구조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수도권 집중화가 계속되고 지방 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는 생존의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며 “지역적 특성에 기반한 맞춤형 일자리 전략으로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해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무안=박지훈 기자·전국 종합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