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반도체·전자 체감경기 27개월만 최악…BSI 10개월 연속 '암울'

전경련 "내년 1월 전망도 부정적…규제 개선해야"

지난 21일 오전 부산항 신선대부두와 감만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지난 21일 오전 부산항 신선대부두와 감만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글로벌 복합 위기 여파로 기업들의 체감경기가 내년 1월까지 10개월 연속으로 부정적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내년 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가 88.5를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BSI가 기준치인 100보다 높으면 경기 전망에 대한 긍정 응답이 부정보다 많다는 뜻이고 100보다 낮으면 부정 응답이 더 많다는 의미다. BSI가 100을 밑돈 건 올해 4월부터 10개월째다. 전월(85.4)보다는 3.1포인트 올랐다.

관련기사



업종별로는 제조업(86.9)과 비제조업(90.3)이 모두 100선을 하회했다. 올 6월부터 8개월 연속 100에 못 미치고 있다. 제조업은 의약품(100.0)을 제외한 모든 산업 분야가 기준선을 하회했다. 반도체를 포함한 전자통신은 2020년 10월(71.4) 이후 27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77.8)를 기록했다.

전경련은 제조업 전망 부진이 국내외 경기침체에 따른 재고 증가에서 기인한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재고 증가가 가동률 하락으로 이어져 생산·투자·고용에 연쇄적인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비제조업 산업 중에서는 전기·가스·수도(113.3)가 전기요금 인상 결정을 앞둔 기대감으로 유일하게 내년 1월 시황을 낙관적으로 바라봤다. 반면 건설(73.8)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분양시장 침체로 가장 비관적으로 전망됐다.
부문별 전망치는 수출(90.7), 자금 사정(86.3), 채산성(90.1), 재고(104.0·100 이상은 과잉재고), 내수(90.9), 고용(93.4), 투자(87.9) 등 모든 부문이 부진했다. 특히 내수와 수출, 투자는 7월부터 7개월 연속 100선을 밑돌았다. 이번 달 BSI 실적치는 85.7로 2월부터 11개월 연속 부정적 전망을 보였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우리 기업은 세계 경제 둔화가 본격화되며 수출 수요가 감소하는 가운데 내수 경기마저 얼어붙는 복합 위기 상황에 직면했다”며 “정부는 세 부담 완화, 자금시장 안정으로 기업의 유동성 압박을 완화하고 불필요한 규제를 개선해 민간 경제에 활력을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